[단독] 한국인 토익 122점 상승…'점수 인플레' 관리 실패했나
입력
수정
지면A2
토익 시험 '변별력' 논란국내 대표 영어능력 시험으로 자리 잡은 토익(TOEIC)이 ‘점수 인플레이션’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 20년간 텝스(TEPS)와 토플(TOEFL) 등 다른 영어시험에선 한국인의 평균 점수가 8~16% 오르는 동안 토익만 22% 이상 올랐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토익 시험이 점수 체계 관리에 실패해 수험자들의 영어 능력을 분별하기 어려워졌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20년간 평균점수 가파른 상승
2013~2016년엔 51점이나 올라
텝스·토플은 소폭 상승에 그쳐
두번 개정했지만 점수체계 유지
문제 유형 익숙하고 요령 생겨
점수따기 유리하니 수험생 몰려
인사처 "시험간 형평성 기준 마련"
3년간 51점 껑충
24일 영어평가학계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한국인의 토익 평균 점수는 990점 만점에 122점 상승했다. 2001년 566점에서 2020년 688점으로 오른 것이다. 특히 2013~2016년에는 3년간 51점 폭등했다.반면 토익이 아닌 다른 영어 시험은 토익만큼 평균 점수가 오르지 않았다. 텝스는 토익 점수가 21.5% 상승한 20년 동안 7.8% 오르는 데 그쳤다. 토익과 마찬가지로 만점이 990점인데, 571점에서 616점(뉴텝스 기준 333점)으로 45점 상승했다. 토플은 읽기와 듣기 영역만 따질 때 같은 기간 60점 만점에 38점에서 44점으로 올랐다. 15.7% 상승하는 데 그쳐 토익의 상승 폭에 못 미친다.학계에선 토익만 유독 점수가 오른 이유를 두 가지로 분석한다. 첫째, 토익이 2006, 2016년 두 차례 시험을 개정하면서 990점 만점 점수 체계를 그대로 유지했기 때문이다. 토익 개정 전인 2015년과 개정 후인 2017년의 650점이 똑같은 영어 능력을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험을 바꾸면 점수 척도도 바꿔야 한다는 규칙은 평가학계에서 통용되는 상식이다. 2014년 미국심리학회(APA) 등이 발표한 ‘교육 및 심리검사의 기준’에선 ‘시험에 주요한 변화가 발생할 때 새로운 점수 척도를 마련하거나 이전 시험과 점수를 바로 비교할 수 없음을 알려야 한다’고 했다. 토플, 텝스는 주요 개정 때마다 점수 척도를 바꿔왔다. 다만 한국의 토익 주관사인 YBM은 “점수 체계를 개편할 정도의 변경이 아니었고, 연구 결과 새로운 시험의 난이도가 기존 시험과 동일했다”고 설명했다. 또 "토익은 영어 실력이 다양한 수험자가 응시하지만, 텝스와 토플은 서울대생이나 해외 유학생이 많이 응시한다"며 "성격이 다른 이 시험들을 동일선상에 놓고 비교하기엔 무리가 있다"고 했다.
날로 발전하는 토익 공략법
둘째로 영어 실력과는 무관하게 수험자들의 ‘토익 요령’이 늘었을 수 있다. 취업용 토익 점수를 만들기 위한 사교육 시장이 크게 발달하면서 수험자들이 토익 공략법을 터득했다는 것이다. 텝스센터장인 이용원 서울대 영어영문학과 교수는 “한국인의 영어 실력이 늘었다고 해도 개별 수험자 점수가 아닌 연간 200만여 명이 치는 대규모 시험의 평균 점수가 단기간에 수십 점 상승하긴 어렵다”며 “만약 실제 영어 실력이 늘었다면 토익뿐 아니라 다른 영어시험 점수도 비슷하게 올라야 한다”고 지적했다.공무원 시험에선 토익만 유리
‘뻥튀기’ 된 토익 점수를 텝스, 토플 등 다른 영어 시험과 비교하면 토익이 훨씬 유리해진다. 인사혁신처는 국가직 5·7급 공무원 임용시험 등에서 영어 과목을 토익, 토플, 텝스 등 다섯 종류의 영어시험으로 대체하고 있다. 2004년 공무원임용시험령에 의해 정해진 지금 제도에 따르면 토익 700점은 뉴텝스 340점으로 환산되지만 이 기준이 토익에 유리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공무원 시험에서 토익 점수가 더 유리하다 보니 수험생도 토익에 몰린다. 2017년 인사혁신처 자료에 따르면 국가공무원 7급 응시자의 91.2%는 영어 성적으로 토익 점수를 제출했다.인사혁신처는 “토익과 다른 영어 시험 간 환산 기준을 포함해 공무원 시험에 관련된 인증 시험 전반을 정기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