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이냐 침체냐, 엇갈린 산업지표…구리값 뛰는데 컨船운임 추락
입력
수정
지면A5
'경기 바로미터' 극과극…기업 불확실성 고조경기의 가늠자 역할을 해 ‘닥터 코퍼’로 통하는 구리 가격이 최근 석 달 새 24.1% 올랐다. 하지만 또 다른 ‘경기 바로미터’인 해상운송료 지표는 추락을 거듭해 석 달 새 42.1%나 빠졌다. 시장에서는 기업들이 체감하는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기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산업·경제 지표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어서다.
'경기선행지표' 금속가격 강세
中, 부동산 부양책 추진하자
구리값 석달새 24.1% 올라
영풍·풍산 등 실적 기대 커져
수출입 부진에 해상운송료 급락
SCFI, 작년 고점의 5분의 1
HMM 등 해운사 실적 '먹구름'
아연·알루미늄 가격도 뜀박질
30일 한국광물자원공사에 따르면 구리 현물은 지난 27일 영국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t당 9345.5달러에 거래됐다. 전 거래일보다 57달러(0.61%) 올랐고, 최근 석 달 새 24.1%(1820.5달러) 뛰었다. 건축과 설비, 송전 등에 두루 쓰이는 구리는 대표적인 경기 선행지표로 통한다.구리 가격은 지난해 3월 t당 1만달러를 넘어서기도 했지만, 이후 내림세를 지속하면서 지난해 7월 7000달러대로 떨어졌다. 이후 등락을 거듭하다 석 달 전 오름세로 전환했다. 구리와 함께 대표 비철금속인 아연과 알루미늄도 최근 석 달 새 각각 27.4%, 18.2% 뜀박질했다. 철광석 가격도 27일 t당 122달러로 석 달 전보다 48.3% 올랐다.
금속 가격을 비롯한 경기 선행지표가 나란히 오름세를 보이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평가된다. 경기가 뚜렷한 침체 국면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많았기 때문이다. 세계은행은 최근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보다 1.3%포인트 하향 조정한 1.7%로 발표하기도 했다.최근 금속 가격이 뜀박질한 것은 중국이 부동산 부양책을 추진한 것과 맞물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말 중국 정부가 발표한 14차 5개년 계획에는 주요 인프라 건설사업의 속도를 높이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중국의 건설 자재 씀씀이가 커지면서 관련 금속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는 논리다.
원자재 가격과 함께 달러 가치도 안정세를 되찾고 있다. 유로 엔 파운드 등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27일 101.93으로 석 달 새 7.83% 내렸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뜻을 밝히면서 시장 유동성 흐름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됐다.
해상운임은 내림세, 금값은 오름세
‘침체’를 가리키는 산업 지표도 적잖다. 글로벌 해상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20일 전주보다 1.67포인트 내린 1029.75를 기록했다. 역대 최고치인 지난해 1월 7일(5109.6)의 5분의 1 수준이다. 조만간 1000선이 무너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해상운송료가 빠지는 것은 제품 수출·수입이 부진할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한국은행은 올해 세계 교역량 증가율을 2.3%로 내다봤다. 2021년(10.1%)의 4분의 1, 2022년(4.2%)의 절반 수준이다.한국을 비롯한 세계 경기가 나빠질 것이라는 지표는 곳곳에서 포착된다. 수출 주도 성장 체제인 한국의 무역지표는 세계 경기의 가늠자 역할을 한다. 하지만 올 들어 한국의 무역지표는 최악 수준이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무역수지(수출-수입)는 102억63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 같은 추세라면 1월 무역수지 적자 폭은 월간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 유력하다. 종전 최대 적자는 지난해 8월의 94억3500만달러다.안전 자산으로 통하는 금값이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것도 미래에 대한 전망이 어두워서다. 27일 런던 금시장에서 금 현물은 트로이온스당 1923달러로 석 달 전보다 17.3%나 뛰었다.
이런 엇갈리는 흐름에 기업들의 희비도 교차하고 있다. 금과 구리, 아연, 알루미늄 가격이 뜀박질하면서 비철금속을 생산하는 고려아연 영풍 LSMnM(옛 LS니꼬동제련) 풍산 등은 실적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해상운송료가 추락하면서 HMM을 비롯한 해운사 실적은 나빠질 전망이다. HMM의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작년보다 73.46% 감소한 2조6629억원으로 집계됐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