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허리 '삐끗'…40代가 위험하다
입력
수정
지면A3
全연령대 중 고용률 '나홀로 하락'최근 5년간 40대만 고용률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소매·제조·건설업 등 업황 부진의 영향을 40대가 그대로 받았다는 분석이다.
비자발적 퇴직 17만7000명 달해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토대로 2017~2022년 세대별 고용지표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 세대에서 40대만 고용률이 하락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이 기간 15~29세 고용률(지난해 고용률 46.6%)이 4.5%포인트 높아진 것을 비롯해 30~39세(77.3%)는 2.0%포인트, 50~60세(77.1%) 1.8%포인트, 60세 이상(44.5%)은 4.6%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40~49세(78.1%)는 1.3%포인트 낮아졌다.전경련은 “40대 인구 절반 이상인 56%는 가정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으로, 이들의 일자리 위협은 가계소득 감소와 소비지출 위축, 내수 악화 등 악순환을 야기해 국가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업종별 40대 취업자 수 변화를 보면 도소매업(-21만2000명) 제조업(-10만4000명) 숙박·음식업(-9만3000명) 교육서비스업(-8만2000명) 건설업(-7만4000명)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제조업·도소매업·교육서비스업·건설업은 지난해 기준으로 40대 취업자 비중이 가장 큰 4대 업종이다. 최저임금 급등 및 코로나 사태 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또 제조업 부진, 공장 자동화 및 일자리 해외 유출 등으로 제조업 일자리가 줄었고 원자재 가격과 금리 급등 등으로 건설 경기가 위축된 영향도 반영됐다.지난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17만7000명으로 40대 전체 퇴직자의 45.6%에 달했다. 비자발적 퇴직이란 휴·폐업, 명예·조기퇴직이나 정리해고 등으로 회사를 나간 것을 말한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40대 중장년층의 일자리가 위협받지만 고용 경직성이 높은 한국 노동시장에선 중장년층의 재취업이 매우 어렵다”며 “세제 지원 강화와 규제 완화 등 일자리 관련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