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세수 7000억 덜 걷혀…증권세·양도세 감소 영향
입력
수정
지면A1
작년 4분기부터 세수부진 본격화지난해 정부가 걷은 국세가 목표치를 밑돈 것으로 집계됐다. 2019년 이후 3년 만의 일이다. 정부 안팎에서 ‘세수 펑크’ 수준의 결손은 간신히 피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올해다. 자칫하면 조(兆) 단위 세수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기업 실적악화로 올해가 더 위기
"10조원 이상 세수 펑크 날 수도"
▶본지 1월 19일자 A1, 5면 참조기획재정부는 지난해 국세 수입이 395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발표했다. 지난해 5월 2차 추가경정예산을 발표할 때 전망한 규모(396조6000억원)와 비교하면 7000억원 부족하다.
우선 증권거래세가 목표치 대비 1조2000억원(-16.4%) 줄어든 6조3000억원 걷혔다. 지난해 실적과 비교하면 4조원(-38.5%) 감소했다. 최근 1년(2021년 12월~지난해 11월)간 유가증권시장 거래대금은 2295조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 42.5% 줄었다. 양도소득세도 2조원가량 적게 걷혔다. 주택 매매 거래량이 1년 전과 비교해 반토막 난 결과다.
종합부동산세와 개별소비세 세수도 목표치 대비 각각 21.1%, 8.1% 감소했다. 종부세는 지난해 정부가 공정시장가액비율을 낮추고 일시적 2주택과 상속 주택, 지방 저가 주택 관련 특례를 시행하면서 고지세액 자체가 줄었다.
증권거래세 16%·종부세 21% 덜 걷혀…법인세도 미달
기획재정부가 30일 공개한 지난해 국세수입 실적의 세수오차율은 0.2%(추가경정예산 기준)로 2001년(0.1%) 후 21년 만에 가장 낮다. 문제는 전망의 정확성이 아니라 세금이 걷히는 추세다. 정부 안팎에서는 세수 펑크 수준의 결손을 간신히 피했다는 분석이 많다.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해 5월 2차 추경안 발표에서 세수 396조6000억원을 전망하며 “추계치를 보수적으로 작성했다”고 했다. 애초 전망대로라면 세수 초과가 나와야 할 상황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7000억원 덜 걷힌 것으로 집계됐다.
기재부가 발표한 국세 진도율(세수 목표 대비 징수율)을 보면 작년 10월까지는 직전 5년(2018~2022년) 평균치를 웃돌았지만, 11월부터 평균치 아래로 떨어졌다. 4분기부터 세수 결손이 본격화했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올해가 더 큰 위기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지난해 전망치와 비슷하게 걷힌 법인세와 근로소득세, 부가가치세마저도 올해는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지난해 국내 기업의 실적을 기반으로 징수하는 법인세가 가장 큰 문제다.
기재부는 올해 법인세가 지난해(2차 추경 기준)보다 0.9% 늘어난 105조원 걷힐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삼성전자를 비롯한 국내 주요 기업들이 잇달아 지난해 4분기 ‘어닝 쇼크’를 나타낸 점을 감안하면 목표 달성은 불가능하다는 게 중론이다.
실적이 급격하게 나빠진 기업들이 임금 인상을 억제하면서 근로자가 내는 근로소득세가 줄어들고, 그 결과 소비가 얼어붙어 부가가치세도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부동산 및 주식 거래세 징수 여건도 지난해 못지않게 나쁠 전망이다. 부동산 및 주식 시장이 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사정이 이렇다 보니 기재부는 올해 국세수입을 지난해보다 4조1000억원 늘어난 400조5000억원으로 전망했지만, 조(兆) 단위 ‘펑크’가 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국회예산정책처는 기재부 목표보다 1조1000억원 적은 399조4000억원을 올해 국세수입 전망치로 제시했다. 박기백 서울시립대 세무학과 교수(전 한국재정학회장) 등 일부 전문가는 10조원 이상 덜 걷힐 가능성까지 거론하고 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