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리터에 1500원' 그 많던 수입 멸균우유는 어디로 갔나 [양지윤의 왓츠in장바구니]
입력
수정
2일 업계에 따르면 마트에서의 수입 멸균우유 판매 비중은 저조한 수준이다. 한 대형마트에 따르면 지난해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우유 매출 중 수입 멸균우유의 비중은 0.1%도 되지 않는다. 마트 온라인몰에서도 수입 멸균우유 매출 비중은 통계로 잡기 어려울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23'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사료값 상승 등으로 원유 생산가가 뛰면서 밀크플레이션이 촉발되자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수입 멸균우유의 지난해 수입량은 3만3000톤에 달한다. 전년도 대비 42%나 늘었다.
수입 규모가 늘었지만 소비자들이 쉽사리 장바구니에 수입 멸균우유를 담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맛'이다. 유업계 관계자는 "맛은 주관적이긴 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살균 우유와 처리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멸균우유를 '싱겁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며 "맛에 대한 선호가 떨어지다보니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그렇게 크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수입 멸균우유의 주요 수요처로 소규모 카페를 지목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수입 멸균우유는 동네 소규모 카페 등에서 대량구입하는 경우가 많다"며 "소규모 업장의 경우 재고 관리도 어렵고 가맹본사로부터의 지원도 없기 때문에 가격이 싼 수입 멸균우유 수요가 높다"고 말했다.
'맛'이라는 한계가 명확한 만큼 수입 멸균우유가 당장 우유 시장을 잠식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지만 업계에서는 멸균우유의 수입량이 최근 급증하고 있는 데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2026년부터 미국, 유럽 등에서 우유가 무관세로 수입되기 때문이다. 수입 멸균우유가 지금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판매될 경우 국산 우유가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양지윤 기자 y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