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방부 "中 정찰풍선 실제 탐지 이번이 처음…철저 분석"
입력
수정
북부사령관 "과거에도 4차례 영공 침범…추가 정보수집으로 파악" 미국 영공을 침범한 중국의 정찰풍선 격추를 놓고 미중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미군 당국이 중국의 정찰풍선을 실제 탐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격추 작전을 지휘한 미군 북부사령부(NORTHCOM)의 최고지휘관이자 북미방공사령부(NORAD) 사령관인 글렌 D. 밴허크 장군은 6일(현지시간) "우리는 그 같은 위협을 탐지하지 못했다"며 "인지까지 시차가 있었다"고 말했다.
미 국방부는 지난 1월 28일 중국 정찰풍선을 탐지, 지난 4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해안 영공에서 이를 격추했다.
격추에는 F-22 스텔스 전투기를 비롯해 다수의 군 자산이 동원됐다. 중국은 이 풍선이 정찰용이 아닌 기상관측에 주로 쓰이는 민간 비행선으로 미국이 과잉대응을 하고 있다며 반발하는 상황이다.
국방부는 이와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 3차례,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한 차례 정찰풍선이 미국 영공을 침범한 사례가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이전에 미국 영공을 침범한 중국 정찰풍선은 미국 땅을 벗어난 뒤에야 사후적으로 정보망에 포착됐다고 당국은 설명하고 있다. 밴허크 사령관은 이와 관련해 정보 당국의 추가적인 정보 수집에 근거해 이전 정찰 풍선들의 존재를 파악했다면서도 그것이 사이버 첩보 또는 전화 감청, 인적 자산에 의한 것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한편 밴허크 사령관은 이번에 격추된 풍선은 200피트(60m)가량 크기이며, 무게는 수천 파운드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풍선에 폭발물이 적재됐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지만, 폭발물이 존재한다는 증거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다만 이 같은 가능성 때문에 풍선이 영해로 넘어오자 격추에 나선 것이라고 부연했다.
밴허크 사령관은 현재 1.5㎢ 규모 바다에서 풍선 잔해를 수집 중이며 군함들이 이 작전에 동원됐다고 설명했다.
미국 언론들은 격추된 풍선의 잔해가 약 7마일(11.3km)에 걸쳐 흩어져 있다고 전했다.
당국은 잔해 수거에는 며칠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밴허크 사령관은 "잔해가 최종 분석을 위해 어디로 갈지는 모르겠지만, 정보 당국과 사법 당국이 공조해 철저히 분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미 국방부는 지난 1월 28일 중국 정찰풍선을 탐지, 지난 4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해안 영공에서 이를 격추했다.
격추에는 F-22 스텔스 전투기를 비롯해 다수의 군 자산이 동원됐다. 중국은 이 풍선이 정찰용이 아닌 기상관측에 주로 쓰이는 민간 비행선으로 미국이 과잉대응을 하고 있다며 반발하는 상황이다.
국방부는 이와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 3차례,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한 차례 정찰풍선이 미국 영공을 침범한 사례가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이전에 미국 영공을 침범한 중국 정찰풍선은 미국 땅을 벗어난 뒤에야 사후적으로 정보망에 포착됐다고 당국은 설명하고 있다. 밴허크 사령관은 이와 관련해 정보 당국의 추가적인 정보 수집에 근거해 이전 정찰 풍선들의 존재를 파악했다면서도 그것이 사이버 첩보 또는 전화 감청, 인적 자산에 의한 것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한편 밴허크 사령관은 이번에 격추된 풍선은 200피트(60m)가량 크기이며, 무게는 수천 파운드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풍선에 폭발물이 적재됐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지만, 폭발물이 존재한다는 증거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다만 이 같은 가능성 때문에 풍선이 영해로 넘어오자 격추에 나선 것이라고 부연했다.
밴허크 사령관은 현재 1.5㎢ 규모 바다에서 풍선 잔해를 수집 중이며 군함들이 이 작전에 동원됐다고 설명했다.
미국 언론들은 격추된 풍선의 잔해가 약 7마일(11.3km)에 걸쳐 흩어져 있다고 전했다.
당국은 잔해 수거에는 며칠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밴허크 사령관은 "잔해가 최종 분석을 위해 어디로 갈지는 모르겠지만, 정보 당국과 사법 당국이 공조해 철저히 분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