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카드 다 사라지나" 카드사 실적 일제히 부진…삼성카드만 ↑
입력
수정

9일 업계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우리·하나카드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총 2조387억원으로 전년 대비 2.7% 감소했다. 은행계 카드사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1위 카드사인 신한카드는 전년 대비 5.0% 감소한 6414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KB국민카드는 전년 대비 9.6% 줄어든 3786억원으로 감소폭이 더 컸으며, 우리카드는 2050억원의 순이익을 내며 전년 대비 4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하나카드는 2505억원에서 1920억원으로 23.3% 급감했다. 삼성카드만 12.9% 증가한 6223억원의 순이익을 내며 다른 카드사와 상반된 실적을 냈다.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이자비용이 급증한 게 실적 악화의 가장 큰 배경으로 꼽힌다. 카드사들은 예금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없기 때문에 카드채와 자산유동화증권(ABS) 등에 자금조달을 의존한다. 그런데 카드채 금리가 1년 만에 2~3배 가까이 뛰면서 이자비용이 급증했다. 신한카드의 이자비용은 5069억원에서 7107억원으로 40.2% 급증했고, KB국민카드도 5096억원으로 35.0% 불어났다.
삼성카드는 상대적으로 이자비용 관리에 성공한 것으로 분석된다. 카드채 금리 상승이 본격화되기 전에 3년 이상 장기 카드채로 자금을 미리 조달해놨다는 게 삼성카드 측 설명이다. 삼성카드의 이자비용은 3255억원에서 4333억원으로 1000억원 가량 늘었다. 신규 차입금 조달금리는 3분기 연 3.47%에서 4분기 연 4.79%로 급등했지만, 미리 조달해놓은 자금이 많아 총 차입금 조달금리가 2.43%에서 2.61%로 소폭 증가하는 선에서 선방했다.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부실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전입액을 늘린 것도 카드업계 실적이 악화된 이유다. 신한카드의 30일 이상 연체율은 0.8%에서 1.04%로 소폭 늘었는데, 이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전입액을 5607억원으로 26.6% 늘려잡았다. 카드업계에서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이다. 삼성카드나 KB국민카드는 각각 8%, 7% 가량 대손충당금 전입액을 늘렸다. 카드업계의 매출은 2021년에 이어 작년에도 성장세를 보였다. 물가상승률이 오르자 가계 실질소득이 줄어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리볼빙에 손을 벌리는 가계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신한카드는 신용판매대금(결제수수료 수입)이 12.1% 증가했으며 현금서비스와 카드론도 각각 7.3%·3.7% 증가했다. KB국민카드도 신용판매(9.4%)와 현금서비스(7.2%)·카드론(7.3%)이 모두 증가세를 나타냈다.
김서연 나이스신용평가 책임연구원은 "올해 카드사 실적은 더 악화될 것"이라며 "한계 차주를 중심으로 원리금 상환 능력이 떨어지면서 대손비용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