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전쟁 터져도 살 수 있다"…생존 가능성 1위 국가는 어디?
입력
수정
뉴질랜드 오타고대 연구팀 분석
호주·뉴질랜드 "핵전쟁으로 종말 위기 닥쳐도 견딜 것"

1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뉴질랜드 오타고대 연구팀은 핵전쟁·거대 화산 폭발·소행성 충돌 등으로 갑자기 햇빛이 줄어드는 대재앙이 닥쳐도 살아남을 것으로 보이는 국가들을 비교 분석해 학술지 '위험분석'에 발표했다.연구진은 섬나라 38곳을 대상으로 식량 생산, 에너지자급도, 제조업 현황, 대재난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 등 13가지 요소를 평가했다. 그 결과, 호주와 뉴질랜드를 비롯해 아이슬란드, 솔로몬제도, 바누아투 등의 생존 가능성이 높게 나왔다.

이와 관련, 연구진은 "호주의 식량 생산 여력은 어마어마하다"면서 "자국 인구 외에도 수천만 명을 더 먹여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오랫동안 비핵화 상태를 유지해 온 뉴질랜드가 이런 측면에서 호주보다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분석이다.
다만 그는 뉴질랜드의 취약한 안보를 약점으로 지적했다. 또 연료 정제 시설이 없다는 점과 농업 생산을 유지하는 데 필요 디젤, 살충제, 기계류 등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글로벌 교역이 갑자기 막힐 경우 정도에 따라 사회 붕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매트 보이드 박사는 "다른 섬나라들도 위기가 닥쳤을 때 충분한 식량을 생산할 수 있다"면서도 "단 산업시설이 파괴되고 사회적 결집력이 붕괴할 경우 새로운 환경에서 버티는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봤다.한편 연구진은 중국과 러시아, 미국 등은 핵겨울이 닥칠 경우 식량 생산이 97%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