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일상회복도 빈부격차…취약계층일수록 "아직 회복 못해"
입력
수정
보사연, 작년 6∼8월 '코로나19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일상 얼마나 회복했나' 질문에 고소득층 6.37점·저소득층 5.85점 경제적·사회적 취약계층일수록 코로나19 이후 일상 회복도 더딘 것으로 조사됐다. 약자들이 코로나19의 타격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입은 데 이어 일상 회복에서도 빈부격차가 나타난 것이다.
1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8월 성인 남녀 3천944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에서 자신이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을 얼마나 회복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자들의 평균 점수는 6.05점이었다.
'전혀 회복 못 했다'를 0점, '완전히 회복했다'를 10점으로 놓고 각자 점수를 매긴 것으로, 조사 당시 응답자들이 코로나19 이전 일상을 60%쯤 회복했다고 본 셈이다. 일상 회복에 대한 인식은 소득이나 계층별로 차이가 있었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계층의 일상 회복 정도 점수는 평균보다 높은 6.37점이지만, 소득이 낮을수록 점수가 떨어져 하위 20%인 1분위는 5.85점에 그쳤다.
자신의 주관적 계층이 중상층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이들과 하층이라고 생각하는 이들의 점수도 각각 6.45점, 5.73점으로 차이가 있었다. 일상 회복 정도를 0∼3점으로 낮게 매긴 응답자, 즉 자신이 아직 일상을 회복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이들의 비율도 취약계층에서 많게는 2배 이상 높았다. 사회적 취약계층과 경제적 취약계층 중에선 각각 14.88%, 10.93%가 일상을 되찾지 못했다고 답해 비취약계층(사회적 6.20%, 경제적 6.67%)의 응답률과 차이를 보였다.
신체건강 취약계층의 일상 미회복 응답률(14.67%)도 신체건강 비취약계층의 응답률(6.23%)보다 훨씬 높았다. 취약계층의 코로나19 타격이 비취약계층보다 더 컸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 통계를 통해 확인된 바 있다.
보사연의 이번 조사에서도 코로나19 감염률은 계층간 차이가 없었으나 감염시에 건강 악화나 경제적 피해는 취약계층이 더 컸다고 응답했으며, 향후 신종 감염병에 대한 우려도 취약계층이 더 컸다.
코로나19의 타격에서도, 이후 일상회복에서도 계층별 격차가 나타난 것이다.
이태진 보사연 선임연구위원 등 연구진은 보고서에서 "생물학적 수준에서 코로나19는 모두를 '평등하게' 공격했으나 이에 대한 우리사회의 대응은 '불평등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일상 회복의 수준 또한 사회계층별로 격차가 있으며 재난상황에서 마땅히 이뤄져야 했던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이 부족했음을 보여줬다"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로부터 완전히 회복하기 위해서는 정책의제를 선정하고 결정하고 집행하고 평가하는 모든 단계에서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집단이 어떤 차별적 영향을 받는지 의식하고 판단의 기준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일상 얼마나 회복했나' 질문에 고소득층 6.37점·저소득층 5.85점 경제적·사회적 취약계층일수록 코로나19 이후 일상 회복도 더딘 것으로 조사됐다. 약자들이 코로나19의 타격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입은 데 이어 일상 회복에서도 빈부격차가 나타난 것이다.
1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8월 성인 남녀 3천944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에서 자신이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을 얼마나 회복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자들의 평균 점수는 6.05점이었다.
'전혀 회복 못 했다'를 0점, '완전히 회복했다'를 10점으로 놓고 각자 점수를 매긴 것으로, 조사 당시 응답자들이 코로나19 이전 일상을 60%쯤 회복했다고 본 셈이다. 일상 회복에 대한 인식은 소득이나 계층별로 차이가 있었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계층의 일상 회복 정도 점수는 평균보다 높은 6.37점이지만, 소득이 낮을수록 점수가 떨어져 하위 20%인 1분위는 5.85점에 그쳤다.
자신의 주관적 계층이 중상층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이들과 하층이라고 생각하는 이들의 점수도 각각 6.45점, 5.73점으로 차이가 있었다. 일상 회복 정도를 0∼3점으로 낮게 매긴 응답자, 즉 자신이 아직 일상을 회복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이들의 비율도 취약계층에서 많게는 2배 이상 높았다. 사회적 취약계층과 경제적 취약계층 중에선 각각 14.88%, 10.93%가 일상을 되찾지 못했다고 답해 비취약계층(사회적 6.20%, 경제적 6.67%)의 응답률과 차이를 보였다.
신체건강 취약계층의 일상 미회복 응답률(14.67%)도 신체건강 비취약계층의 응답률(6.23%)보다 훨씬 높았다. 취약계층의 코로나19 타격이 비취약계층보다 더 컸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 통계를 통해 확인된 바 있다.
보사연의 이번 조사에서도 코로나19 감염률은 계층간 차이가 없었으나 감염시에 건강 악화나 경제적 피해는 취약계층이 더 컸다고 응답했으며, 향후 신종 감염병에 대한 우려도 취약계층이 더 컸다.
코로나19의 타격에서도, 이후 일상회복에서도 계층별 격차가 나타난 것이다.
이태진 보사연 선임연구위원 등 연구진은 보고서에서 "생물학적 수준에서 코로나19는 모두를 '평등하게' 공격했으나 이에 대한 우리사회의 대응은 '불평등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일상 회복의 수준 또한 사회계층별로 격차가 있으며 재난상황에서 마땅히 이뤄져야 했던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이 부족했음을 보여줬다"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로부터 완전히 회복하기 위해서는 정책의제를 선정하고 결정하고 집행하고 평가하는 모든 단계에서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집단이 어떤 차별적 영향을 받는지 의식하고 판단의 기준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