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둔화 안도 vs 긴축가속 우려…6.4% 해석 엇갈린 美 주식·채권
입력
수정
지면A8
美 인플레이션 전망 두고 시각차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한 시장 내 반응이 엇갈렸다. 채권시장에선 인플레이션 둔화가 늦어짐에 따라 긴축 속도가 더 빨라질 가능성을 우려했다. 반면 뉴욕증시는 물가 급등세가 진정되는 추세는 여전하다며 안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긴축 속도를 두고 시장과 미국 중앙은행(Fed)의 전망이 엇갈린 데 이어 또 다른 시각차가 드러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증시 "CPI 상승률 계속 하락세"
"둔화세 느려도 물가 급등세 진정"
나스닥은 상승, S&P500 약보합
채권시장은 "아직 갈 길 멀다"
CPI 발표 후 기준금리 전망치↑
6월 추가인상 확률 46%로 올라
연은 "느슨한 긴축, 가장 위험"
채권시장은 긴축 강화 우려
14일(현지시간) 미국 국채 10년 만기 금리는 5.3bp(1bp=0.01%포인트) 상승한 연 3.758%를 기록했다. 단기 국채 금리는 더 올랐다. 2년 만기 금리는 9bp 오른 연 4.630%에 거래됐다. 지난해 11월 이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6개월 만기 국채 금리는 연 5.041%까지 올랐다. 6개월 만기 금리가 연 5%를 넘어선 건 2007년 7월 후 16년 만이다.금리 선물 시장의 기준금리 전망치도 높아졌다. 이날 지난달 CPI가 발표되기 전까지만 해도 오는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이 44.6%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1월 CPI가 공개된 뒤 금리 동결 확률은 42.1%로 낮아졌다. 이에 비해 25bp 인상할 확률은 40.9%에서 46.4%로 상승했다. 올해 기준금리의 최고치도 1월 CPI가 나오기 전엔 연 5.0~5.25%로 예상됐지만, CPI 발표 후엔 연 5.25~5.5%로 예측됐다.
채권 금리와 기준금리 전망치가 상승한 것은 인플레이션을 잡는 과정이 험난해 긴축 기조가 더 오래갈 수 있다는 관측 때문이다. 1월 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기준 6.4%로 시장 추정치(6.2%)보다 높았다. 전월 대비 상승률도 0.5%로 한 달 전(0.1%)에 비해 큰 폭으로 올랐다.인플레이션 둔화 속도가 늦어지자 Fed 인사들은 긴축의 고삐를 좨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존 윌리엄스 뉴욕연방은행 총재는 이날 “노동시장이 강력한 만큼 인플레이션이 기대보다 더 오래, 더 높은 수준에 머무를 위험이 분명히 있다”며 “예상보다 금리를 더 올릴 필요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로리 로건 댈러스연방은행 총재도 “금융 여건상 필요한 경우 추가 긴축을 해야 한다”며 “가장 중요한 위험은 너무 느슨하게 긴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식시장은 낙관론이 우세
채권시장에 비해 뉴욕증시에선 1월 CPI 결과를 부정적으로만 평가하지 않았다. 둔화 속도가 느려지긴 했지만 CPI 상승률의 하락 추세는 계속됐기 때문이다. 전년 동기 대비 기준으로 6.4% 상승률은 2021년 10월 이후 가장 낮았다.이날 뉴욕증시에서 나스닥지수는 0.57% 올랐다. 0.03% 떨어지며 약보합으로 마감한 S&P500지수도 장 막판까지 상승세를 유지했다. 그레고리 다코 어니스트앤드영 이코노미스트는 “인플레이션이 일직선으로 떨어지지 않고 어느 정도 울퉁불퉁한 시기를 거칠 것이라는 건 예상하고 있었다”며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CPI의 구성 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거비(34%) 전망도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달 주거비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7.9%로 같은 기간 전체 평균(6.4%)을 웃돌았다. 하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신규 임차료를 중심으로 주거비 상승률이 꺾이고 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렌트비 하락은 시차를 두고 CPI에 반영되기 때문에 올 하반기가 되면 주거비 상승률이 내려갈 것”이라고 전망했다.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물가 급등세가 잦아들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날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큰 고통을 주는 생계비 문제를 해결할 기회가 왔다”며 “세계 경제가 바닥을 치고 있고 터널 끝에서 빛이 보인다”고 밝혔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