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글로벌 경기 둔화 여파로 수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반도체 수출 감소세가 심화되고 있다"며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도 아직은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를 열고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과 무역수지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관세청에 따르면 지난달 무역적자 규모는 126억9000만 달러로 월간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달 무역적자의 95%가 에너지와 반도체, 중국 등 3대 요인에 기인한다는 게 추 부총리의 설명이다. 기재부는 126억9000만 달러 무역적자 가운데 에너지 수입이 54.9%, 반도체 수출 위축이 19.8%, 반도체를 제외한 중국 요인이 20.3%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반도체 등 국가전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투자 활성화를 위해 국회도 한시가 시급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이달 중 꼭 처리해주기를 간곡히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한국경영자총연합회가 주최한 제1회 한국최고경영자포럼에서 '최근 경제상황과 정책방향'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추 부총리는 이날 한국경영자총협회가 개최한 한국최고경영자포럼에 참석해 "당분간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두면서 거시경제 상황을 고려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민생 안정의 첫걸음이 물가 안정이고, 물가가 무너지면 다 무너진다"며 "물가가 불안하면 취약계층이 무너지기 때문에 물가 안정을 우선적으로 해야 한다"고 했다.이는 물가와 함께 경기 진작도 신경쓰겠다고 밝힌 추 부총리의 최근 발언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발언이다. 추 부총리는 지난 10일 "물가 안정 기조를 확고히 해나가되, 이제 서서히 경기 문제도 신경써야 하는 상황으로 점검 가게 된다"고 말한 바 있다.
추 부총리는 또 "제일 쉬운 것이 어려우니까 돈 풀자는 것인데, 예전엔 재정이 튼튼했으니까 되는데 지금은 빚 내자는 소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