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현 금리 긴축적 수준"…이달 동결 시사

23일 금통위 앞두고 업무보고
"그간 인상효과 면밀히 점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2월 임시국회 업무현황’을 보고하고 있다. 이 총재는 “올해도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두되 대내외 금융·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만큼 보다 정교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병언 기자
한국은행이 현재 연 3.5%인 기준금리가 “긴축적인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간의 금리 인상 파급효과를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2월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기준금리 동결을 시사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은은 2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열린 ‘2월 임시국회 업무현황’ 보고에서 “지난해 8월 이후 총 10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3.0%포인트 인상했다”며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 확산을 억제하고 고물가 상황의 고착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긴축적인 수준까지 인상했다”고 밝혔다. 한은이 현재 기준금리 수준을 ‘긴축적’이라고 평가한 것은 중립금리를 웃도는 것으로 보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중립금리란 경제활동이 잠재 수준에서 이뤄져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압력을 초래하지 않는 금리 수준을 의미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올해도 지속적으로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두고 통화정책을 운용하되 대내외 금융·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만큼 보다 정교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한은은 “물가 상승률이 점차 낮아지겠지만, 목표 수준(2%)을 웃도는 오름세가 연중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앞으로도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두고 긴축 기조를 이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 다만 기준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에는 “그간의 금리 인상 파급효과와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 성장 하방 위험,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위험),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23일 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이 총재는 “공공요금이 올라 물가 상승률 둔화를 막는 요인인 것은 사실이지만 국민경제 전체로는 에너지 가격을 인상하지 않을 수 없다”며 “에너지 가격을 올리지 않으면 경상수지 적자로 환율에 악영향을 주고 결국 물가도 오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올해 경제에 대해 “국내 경기는 단기적으로 수출 부진, 소비 회복세 약화 등으로 작년보다 성장세가 둔화하겠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중국 경제 회복, 정보기술(IT) 경기 반등 등으로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총재는 반도체 경기와 관련해 “예상보다 개선 시점이 늦어질 것”이라며 “하반기에 좋아질 것이라고 하는데 그 시점은 6월이 아니라 3분기 이후”라고 말했다. 한은은 대외적인 불확실성 요인으론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 일본의 통화정책 등을 꼽았다. 대내적으로는 부동산 경기 위축을 잠재적인 위험 요인으로 거론했다. 한은은 “올해 주택시장은 높은 대출금리, 매매·전세가격 연쇄 하락 등으로 당분간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며 “다만 정부의 부동산 대책은 매수 심리의 급격한 위축을 막아 주택 가격 하락 속도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