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 늘리면 소아과 위기 해소될까…"의대증원 의료계와 협의"
입력
수정
현정부 3번째 대책…소아 공공진료센터·응급의료센터 확대
수가 높이고 시설·장비 지원, 근무여건 개선…의사수 확대 구체계획 없어
전공의 구인난·수도권-지방 인력 격차…오픈런·원거리 진료 '소아의료 위기' 정부가 22일 내놓은 소아의료체계 개선대책은 소아 의료의 붕괴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의료기관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내용이 핵심이다. 정부는 이전에도 '필수의료 지원대책'을 내놓으며 소아진료 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지만, 일부 대형병원에서 소아 입원진료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하며 상황이 악화하자 추가 대책을 내놨다.
다만 이번 대책은 보상 강화라는 '당근'을 제시하면서도 근본적인 해결책 중 하나로 꼽히는 의사 수 확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포함하지 않아 장기적인 효과를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 지원 늘리고 손실 보상, 중환자 입원료 인상…"의료인력 확충 추진"
정부가 이날 내놓은 대책은 기존에 '필수의료'의 범주에 묶어 발표한 대책을 포함하면 윤석열 정부 들어 3번째 소아의료 관련 정책 발표다. 보건복지부는 소아의료 외에 중증·응급, 분만의료를 아우르는 필수의료와 관련해 작년 12월 8일과 지난달 31일 공공정책수가 도입, 의사 근무여건 개선 등을 내용으로 하는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한 대책은 현재 10곳인 어린이공공전문진료센터를 올해 4곳 더 늘리고, 시설과 장비 예산 지원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았다.
8곳인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는 4곳을 추가 설치하고, 소아암 지방 거점병원 5곳을 육성한다. 신규 지정 센터에는 초기 시설과 장비 도입을 지원하고 기존 센터에는 시설과 장비의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기존 대책에 따라 의료적인 손실은 사후에 보상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병의원급 신생아실의 입원 수가도 높인다. 현재 만 8세 미만 대상 30%인 소아입원료 연령 가산을 만 1세 미만에 대해서는 50%로 확대한다.
입원전담 전문의가 소아를 진료할 경우 소아 연령 가산을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상급종합병원을 지정할 때 24시간 소아응급 제공, 소아응급 전담전문의 배치, 응급실 수용 소아환자 분담률 등 소아·중증진료와 관련한 지표를 평가하도록 할 계획이다.
대책에는 소아중환자실 입원료를 인상하는 내용도 담겼다.
소아진료에 대한 보상을 강화해 중환자실 필수 장비와 시설을 확충하도록 하겠다는 의도다.
야간·휴일에 외래진료를 하는 '달빛어린이병원'에 대한 수가도 높인다.
아울러 소아의 갑작스러운 증상에 대해 의료인이 24시간 전화상담을 하는 소아전문 상담센터 시범사업을 조속히 추진한다.
간단한 처치법과 운영 중인 의료기관을 소개하는 상담 서비스다.
복지부는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을 위해 긴 근무시간 등 근무여건도 개선하기로 했다.
다만 대책에는 의사 인력 확충과 관련해서는 '추진한다'는 원론적인 내용만 담겼다.
공공의대 신설 등 의료기관을 늘리겠다는 식의 근본적인 대책도 빠져있다.
복지부는 의사 확충 문제와 관련해서는 "필수분야 의사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의료계와 협의해 의료인력 확충을 추진한다"고만 짧게 언급했다. ◇ 올해 소아과 전공의 지원율 25%…저출산에 비인기과 인력난
소아의료가 위기에 처한 것은 진료할 의사의 절대적인 숫자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원인으로는 저출산으로 인한 소아의료 수요 감소와 의사들의 인기 진료과 '쏠림' 현상이 꼽힌다.
합계출산율은 지난 2012년 1.3명에서 2021년 0.7명까지 떨어지면서 소아 진료의 수요가 감소했다.
그러는 사이 비급여 시장이 활성화되는 상황에서 건강보험 급여 진료가 대부분인 소아청소년과 병원의 수익은 다른 진료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지난 2017년 3천308개였던 소아청소년과 의원은 작년에는 3천247개로 61개 줄었다.
소아청소년과의 인기 하락은 전공의 지원율을 봐도 쉽게 알 수 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가 집계한 2023년도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자는 총 53명으로 전체 정원 208명 중 25%에 불과하다.
작년 집계를 보면 전공의 지원율은 재활의학과 202.0%, 정형외과 186.9%, 피부과 184.1%, 성형외과 180.6% 등이어서 인기 진료과와 소아청소년과 사이의 격차가 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이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23년도 상반기 레지던트(전공의) 모집' 자료를 보면 소아청소년과 모집정원이 있는 50개 대학병원 중 정원을 다 채운 곳은 서울대병원이 유일했다.
76%에 해당하는 38개 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자가 0명이었고, 모집정원 확보율이 50%를 넘긴 병원은 4곳 뿐이었다.
이처럼 의사 수가 부족하고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이 부족하면서 소아를 둔 부모들은 병원이 문을 여는 시간을 맞춰 '오픈 런'을 하거나 원거리 진료를 다녀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중증 소아청소년환자가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의 지역간 격차도 크다. 2019년 기준 소아 입원환자 거주지역 상급종합병원 치료 비율은 서울이 93.9%이지만 충북은 52.6%에 그쳤다. /연합뉴스
수가 높이고 시설·장비 지원, 근무여건 개선…의사수 확대 구체계획 없어
전공의 구인난·수도권-지방 인력 격차…오픈런·원거리 진료 '소아의료 위기' 정부가 22일 내놓은 소아의료체계 개선대책은 소아 의료의 붕괴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의료기관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내용이 핵심이다. 정부는 이전에도 '필수의료 지원대책'을 내놓으며 소아진료 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지만, 일부 대형병원에서 소아 입원진료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하며 상황이 악화하자 추가 대책을 내놨다.
다만 이번 대책은 보상 강화라는 '당근'을 제시하면서도 근본적인 해결책 중 하나로 꼽히는 의사 수 확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포함하지 않아 장기적인 효과를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 지원 늘리고 손실 보상, 중환자 입원료 인상…"의료인력 확충 추진"
정부가 이날 내놓은 대책은 기존에 '필수의료'의 범주에 묶어 발표한 대책을 포함하면 윤석열 정부 들어 3번째 소아의료 관련 정책 발표다. 보건복지부는 소아의료 외에 중증·응급, 분만의료를 아우르는 필수의료와 관련해 작년 12월 8일과 지난달 31일 공공정책수가 도입, 의사 근무여건 개선 등을 내용으로 하는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한 대책은 현재 10곳인 어린이공공전문진료센터를 올해 4곳 더 늘리고, 시설과 장비 예산 지원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았다.
8곳인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는 4곳을 추가 설치하고, 소아암 지방 거점병원 5곳을 육성한다. 신규 지정 센터에는 초기 시설과 장비 도입을 지원하고 기존 센터에는 시설과 장비의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기존 대책에 따라 의료적인 손실은 사후에 보상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병의원급 신생아실의 입원 수가도 높인다. 현재 만 8세 미만 대상 30%인 소아입원료 연령 가산을 만 1세 미만에 대해서는 50%로 확대한다.
입원전담 전문의가 소아를 진료할 경우 소아 연령 가산을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상급종합병원을 지정할 때 24시간 소아응급 제공, 소아응급 전담전문의 배치, 응급실 수용 소아환자 분담률 등 소아·중증진료와 관련한 지표를 평가하도록 할 계획이다.
대책에는 소아중환자실 입원료를 인상하는 내용도 담겼다.
소아진료에 대한 보상을 강화해 중환자실 필수 장비와 시설을 확충하도록 하겠다는 의도다.
야간·휴일에 외래진료를 하는 '달빛어린이병원'에 대한 수가도 높인다.
아울러 소아의 갑작스러운 증상에 대해 의료인이 24시간 전화상담을 하는 소아전문 상담센터 시범사업을 조속히 추진한다.
간단한 처치법과 운영 중인 의료기관을 소개하는 상담 서비스다.
복지부는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을 위해 긴 근무시간 등 근무여건도 개선하기로 했다.
다만 대책에는 의사 인력 확충과 관련해서는 '추진한다'는 원론적인 내용만 담겼다.
공공의대 신설 등 의료기관을 늘리겠다는 식의 근본적인 대책도 빠져있다.
복지부는 의사 확충 문제와 관련해서는 "필수분야 의사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의료계와 협의해 의료인력 확충을 추진한다"고만 짧게 언급했다. ◇ 올해 소아과 전공의 지원율 25%…저출산에 비인기과 인력난
소아의료가 위기에 처한 것은 진료할 의사의 절대적인 숫자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원인으로는 저출산으로 인한 소아의료 수요 감소와 의사들의 인기 진료과 '쏠림' 현상이 꼽힌다.
합계출산율은 지난 2012년 1.3명에서 2021년 0.7명까지 떨어지면서 소아 진료의 수요가 감소했다.
그러는 사이 비급여 시장이 활성화되는 상황에서 건강보험 급여 진료가 대부분인 소아청소년과 병원의 수익은 다른 진료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지난 2017년 3천308개였던 소아청소년과 의원은 작년에는 3천247개로 61개 줄었다.
소아청소년과의 인기 하락은 전공의 지원율을 봐도 쉽게 알 수 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가 집계한 2023년도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자는 총 53명으로 전체 정원 208명 중 25%에 불과하다.
작년 집계를 보면 전공의 지원율은 재활의학과 202.0%, 정형외과 186.9%, 피부과 184.1%, 성형외과 180.6% 등이어서 인기 진료과와 소아청소년과 사이의 격차가 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이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23년도 상반기 레지던트(전공의) 모집' 자료를 보면 소아청소년과 모집정원이 있는 50개 대학병원 중 정원을 다 채운 곳은 서울대병원이 유일했다.
76%에 해당하는 38개 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자가 0명이었고, 모집정원 확보율이 50%를 넘긴 병원은 4곳 뿐이었다.
이처럼 의사 수가 부족하고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이 부족하면서 소아를 둔 부모들은 병원이 문을 여는 시간을 맞춰 '오픈 런'을 하거나 원거리 진료를 다녀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중증 소아청소년환자가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의 지역간 격차도 크다. 2019년 기준 소아 입원환자 거주지역 상급종합병원 치료 비율은 서울이 93.9%이지만 충북은 52.6%에 그쳤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