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AI로 24시간 '불꽃감시'
입력
수정
지면B2
ICT플랫폼으로 산불감시·예방산림청이 올해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산불 감시와 예방을 강화하고, 산림 인접지 불법 소각행위도 집중 단속하기로 했다. 계속되는 동해안 지역 대형산불 대응을 위해 경북 울진에 국립 동해안산불방지센터를 신설하기로 했다. 산림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3년 전국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AI 연계한 CCTV, 24시간 가동
드론산불진화대 10개 팀 운영
산불헬기 지휘할 통제관 구성
공중서도 화재진화 활동 강화
○국가중요시설 보호 선제 대응체계 구축
산림청은 ICT 플랫폼을 산불 위험이 높은 강원과 경북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확대 설치할 예정이다. 지난해 6곳에서 올해 4곳을 추가해 1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산불 감지 센서나 인공지능(AI) 학습과 연계되는 지능형 폐쇄회로TV(CCTV)를 이용해 24시간 연기 또는 불꽃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주요 산불 발생 원인인 소각행위도 중점 관리하기로 했다. 지난해 11월부터 산림 인접지(100m)에서의 소각행위를 전면 금지하도록 산림보호법 시행령을 개정해 시행 중이다. 특별사법경찰(1269명)과 유관기관이 협력(산림·농정·환경부 합동점검반)해 산림 인접 지역 소각산불 단속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불로부터 원전, 액화천연가스(LNG), 문화재 등 국가중요시설 보호를 위한 선제 대응 체계도 구축한다. 산불상황관제시스템에 원전, 가스, 송전시설, 문화재 등 국가 중요시설물(14만6000곳) 위치를 탑재해 실시간 산불을 관리하고, 재난방송 시 산불 상황과 확산예측, 주변 위험시설 등을 신속히 주민에게 전파하기로 했다. 동해안 지역 등 대형산불 취약지역 대응을 위해 울진에 2025년 준공을 목표로 국립 동해안산불방지센터를 신설할 예정이다. 올해 말까지 남북 접경지역의 사각지대 없는 산불 대응을 위해 DMZ 항공관리소도 마련하기로 했다.야간산불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드론에 열화상카메라를 장착해 화선과 이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드론산불진화대 10개 팀을 운영할 방침이다. 2027년까지 초대형 헬기 13대를 도입해 산불 진화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산불 헬기 민간 조종사가 산림항공본부의 모의비행훈련장치를 공동 활용하도록 하는 훈련도 지원할 예정이다. 산림청은 산불 피해지에서 산사태 등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응급 복구와 사방사업을 시행하기로 했다.
○공중산불진화 전문성 강화
산림청 산림항공본부는 지난달 공중통제관(ACC) 4명과 지상안전통제관(GSC) 2명 등 통제관 6명을 위촉했다. 헬기 조종사와 관제사, 항공안전감독관 등으로 구성된 통제관들은 전문교육 과정을 거쳐 대형산불 현장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들은 모든 산불진화헬기를 통합 지휘하고 착륙한 헬기에 대한 지원업무를 담당하게 된다.산림항공본부장은 공중통제관에게 산불현장에 투입된 산림청 헬기를 비롯해 유관기관 헬기를 통합지휘할 수 있는 권한과 책임을 부여했다. 지상안전통제관에게는 이·착륙장에서 헬기 입·출항 관제, 긴급 정비, 급유, 휴식 및 보건 등을 지원하는 책임과 안전통제에 대한 권한을 줬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지난해만 산불로 1조3452억원의 피해를 보는 등 우리나라 산불은 대부분 입산자 실화, 소각 등 사람의 부주의로 인한 산불”이라며 “산불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이 되도록 국민 여러분의 협조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