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하락세 둔화…2주 연속 낙폭 줄여
입력
수정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서울 집값 바닥 쳤나…하락세 약해져
매매가 따라가는 전셋값, 전주보다 덜 내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2월 셋째 주(20일) 기준 서울 집값은 0.26% 하락했다. 다만 전주(-0.28%)보다 낙폭이 줄어들었다. 올해 들어 5주 연속 낙폭을 줄어들었던 서울 집값은 이달 첫째 주(6일) 다시 낙폭이 커졌다가 전주와 이번 주 2주 연속 낙폭을 줄였다.낙폭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하락세는 계속되고 있다. 금천구는 이번 주 0.54% 내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금천구 시흥동 '럭키남서울아파트' 전용 49㎡는 전날 4억5000만원에 직거래됐다. 직전 중개 거래 6억1000만원보다 1억6000만원 하락했다.
같은 동 '삼익' 전용 84㎡도 지난 11일 5억5000만원에 손바뀜했는데 지난해 최고가(6억5000만원, 1월)보다는 1억원, 직전 거래(5억7000만원, 11월)보다는 2000만원 더 내렸다.

광진구(-0.38%)도 집값이 떨어졌다. 광장동에 있는 '현대3' 전용 84㎡는 지난 4일 10억50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지난해 7월 직거래 된 15억5000만원보다 5억원 하락했다. 자양동 '우성2' 전용 51㎡는 지난 10일 7억6500만원에 매매 계약을 체결해 전월 거래된 7억9000만원보다 2500만원 내렸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집값 추가 하락에 대한 기대심리로 매수인 우위 시장이 유지되는 상황으로 급매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면서도 "부동산 규제 완화 조치, 금융권 대출금리 하락 등으로 주요 단지에서 상승 거래가 일부 발생, 전체적으로 낙폭이 축소됐다"고 평가했다.
성동구(-1.09%)는 금호동과 응봉동, 마장동을 중심으로, 광진주(-0.92%)는 광장동, 구의동, 자양동에서 전셋값이 하락했다. 용산구(-0.86%)와 강북구(-0.73%) 등도 전셋값 하락을 지속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신규 입주 물량으로 인한 공급 증가, 역전세 우려 등으로 수요가 감소하는 상황"이라며 "세입자 우위 시장이 지속 중"이라고 했다.한편 이날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지난달까지 7회 연속 계속되던 금리 인상 기조를 1년 반 만에 멈춘 것이다. 높은 금리가 부동산 시장을 억누르는 요인으로 작용했던 만큼 금리가 동결되면서 위험이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