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혹시 책을 읽다가 떠오르는 얼굴이 있나요
입력
수정
지면A19
살아가는 책“내 인생은 실패했어요.”
이은혜 지음
마음산책
204쪽│1만5000원

인문 출판사 글항아리 편집장인 저자는 작가 25명이 쓴 책의 등장인물과 자신, 친구, 가사도우미 등 주변의 여러 사람을 연결 지었다. 책을 읽으면서 현실의 이야기를 떠올리고, 자신의 지인들을 맞물리게 하면서 독서라는 단순한 행위가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하는 경험을 담았다. 편집과 출판의 고민을 써낸 <읽는 직업> 이후 3년 만에 내놓은 신작이다. 저자에게 책은 수많은 감정과 삶을 넘나들게 하고, 인생을 되돌아보게 한다. 한정원의 <시와 산책>을 읽으면서 저자 자신의 시는 어떤 행과 연으로 이뤄져 있는지 탐구한다. 얀 그루에의 <우리의 사이와 차이>를 통해선 몇 년 전 독일에서 겪은 장애를 가진 한국인 여성과의 일화를 반추한다.
한편으로는 책을 읽는다는 게 과연 즐겁고 달콤한 일인지 의문을 품기도 한다. 저자는 책 속에서 예기치 못한 기억의 단서들과 마주하면서 독서에 대한 배신감을 느낀다. 윌리엄 트레버의 <펠리시아의 여정>을 읽으며 20대 초반 잠깐 스친 사랑과 우정 사이의 감정을 떠올린다. 상대방이 일방적으로 애정과 관심을 베푸는 관계였다.우리는 한 명의 인간으로 살아간다. 하지만 책을 읽는 동안에는 다른 사람의 사고와 감정으로 살아볼 수 있다. 객관적인 관찰자가 되기도 하면서 다른 삶을 경험한다. 책에 등장하는 낯선 타인 속으로 들어가 잠시나마 그의 인생을 겪으면서 잊고 있었던 지난 기억들을 떠올린다. 그리고 나의 삶은 생각보다 다양한 길을 걸어왔음을 깨닫는다.
저자는 독자들에게 이 같은 깨달음을 주면서, 작가와 독자를 연결하는 편집자를 넘어 책과 현실을 잇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해낸다.
이금아 기자 shinebij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