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광물이 金"…印尼·호주광산 뚫는 한국기업들

자원 민족주의 광풍에
리튬·니켈 공급망 구축 서둘러

포스코, 인니에 니켈 생산공장
아르헨선 '리튬 소금호수' 매입

SK온, 호주 자원업체 지분 매입
LG그룹, 미국서 리튬 공급계약
포스코가 투자한 아르헨티나 리튬 추출공장 및 염수저장시설 전경. 포스코 제공
SK 포스코 LG LX 등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2차전지 핵심 광물인 리튬·니켈을 확보하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공급망 불안이 확산하고 자원 민족주의도 강화하자 기업들이 발 빠르게 대응하고 나선 것이다. 미국 캐나다 호주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리튬·니켈 조달 채널을 뚫으며 성과를 거두고 있다.

포스코홀딩스, 리튬 30만t 생산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23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중국 자원기업 닝보리친과 ‘니켈 생산협력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고 24일 발표했다. 포스코홀딩스는 MOA에 따라 2025년까지 닝보리친과 인도네시아에 연산 6만t 규모의 니켈 생산공장을 짓기로 했다. 전기차 120만 대분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포스코홀딩스는 한국의 간판 광물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 니켈과 ‘하얀 석유’로 통하는 리튬 공급망 구축을 통해 2030년까지 니켈 22만t, 리튬 30만t 생산·판매 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 회사는 올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뉴칼레도니아에 연산 2만t 규모의 니켈 정제 공장도 건설 중이다. 2021년에는 호주 니켈 광산 업체인 레이븐소프의 지분 30%를 2억4000만달러(약 3100억원)에 인수했다.

리튬에도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2018년부터 호주 광산업체 필바라미네랄스에서 리튬을 공급받는 한편 같은 해 아르헨티나에선 리튬이 녹아든 소금호수를 매입했다.포스코홀딩스는 아르헨티나 소금호수 근처에 2024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연산 2만5000t 규모의 수산화리튬 생산 공장을 짓고 있다. 최근 호주 광물업체인 진달리리소스와도 업무협약을 맺고 미국에서 ‘점토 리튬’ 사업을 추진 중이다.

‘리튬 OPEC’ 초읽기

SK그룹 배터리 계열사인 SK온도 리튬·니켈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작년 10월에는 호주 자원업체인 레이크리소스의 지분 10%를 사들였다. 내년부터 10년 동안 레이크리소스에서 리튬 23만t을 공급받는 계약도 맺었다. 한 달 뒤인 11월에는 에코프로 등과 인도네시아에 연산 3만t 규모의 니켈 공장을 짓는 계약도 맺었다. 이 공장은 2024년 준공 예정이다. 지난해 11월 글로벌 자원기업인 칠레 SQM과 올해부터 5년 동안 리튬 5만7000t을 공급받는 계약도 체결했다.

LG그룹에서는 계열사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이 자원 전쟁에 가세했다. LG화학은 이달 17일 미국 광산업체인 피드몬트리튬과 20만t 규모의 리튬정광 구매 계약을 맺었다. LG에너지솔루션도 지난해 미국 자원 기업인 컴퍼스미네랄과 2025년부터 6년 동안 탄산리튬 약 1만1000t을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LX인터내셔널은 인도네시아 니켈 광산 여러 곳에 대한 투자를 검토 중이다.한국 기업들이 공급망 구축을 서두르는 배경의 하나로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자원 민족주의가 꼽힌다. 세계 10위 리튬 보유국인 멕시코는 지난 18일 리튬을 국유화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전 세계 리튬 매장량의 60%를 차지하고 있는 칠레 아르헨티나 볼리비아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슷한 방식의 ‘리튬판 OPEC’을 추진 중이다. 인도네시아는 니켈 광석의 수출을 금지하는 한편 자국에 공장을 세우는 기업에만 니켈을 공급하기로 했다.

기업들의 공급망 구축은 전 세계 광물을 싹쓸이하는 중국 기업에 대응하는 포석도 깔려 있다. 중국 광물업체들은 일찍부터 남미와 호주, 아프리카의 리튬 광산을 쇼핑한 결과 세계 리튬 화합물 1위 생산 국가로 등극했다. 리튬의 국제 가격이 중국 화폐단위인 위안으로 산출되는 것도 이 같은 배경이 작용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