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한국·일본, 코로나 대응 가장 성공적"…이유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4천423명을 기록한 15일 오전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QR코드 검사 접수에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을 대신해 접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과 일본 등을 코로나19 대응을 가장 잘 한 국가들로 평가했다. 한국은 보건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확진자 격리와 QR 코드 사용 등 디지털 대응으로 코로나19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분석이다.

23일(현지시간) OECD는 ‘다음 위기에 대응할 준비가 됐는가? 보건 시스템 복원력에 투자하기’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OECD는 보고서에서 회원국들을 코로나19 환자 사망률에 따라 A군부터 D군까지 4개 군으로 분류했다. 사망률이 가장 낮은 A군에는 한국을 비롯해 호주와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일본, 뉴질랜드, 노르웨이가 포함됐다. 사망률이 가장 높은 D군은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등으로 구성됐다.

OECD는 이들을 비교분석해 각국의 보건 시스템과 코로나19 대응 성과가 비례했다고 밝혔다. A군 국가들은 다른 군 국가들보다 병원 평균 수가 더 많고, 보건 부문 고용자 비중이 높았다는 것이다.

OECD는 회원국들이 시행한 코로나19 봉쇄 정책에서도 한국을 포함해 독일과 뉴질랜드의 조명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검사(testing)와 추적(tracing), 격리 치료(treatment with isolation) 등 ‘3T 전략’의 대응책이 강력한 봉쇄 정책의 모범 사례로 인식됐다고 평가했다.

OECD는 한국이 민관협력으로 2주 만에 전국 단위 검사 체계를 만들었고, 확진자를을 지정된 시설에 격리했으며다고 언급했다.

또한 한국은 확진자 추적 시스템을 마련하고 실내 출입을 규제하는 데 QR코드를 사용하는 등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을 채택했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한국 정부가 허위 정보 대응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춘 점, 코로나19 관련 데이터를 통합 관리한 점 등도 모범 사례로 소개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