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의 재무위험 좌우할 3조원 PF, 요소별로 까보니 [알부자]
입력
수정

한국은행이 잇따른 금리 인상 행진을 멈추면서 경색된 부동산금융 시장이 풀리는 듯하지만 건설사들을 바라보는 기업 분석 전문가들의 시각은 아직도 싸늘하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의 계열사이자 국내 최초 신용평가사인 한국신용평가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에도 건설 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는 여전하다"고 진단했다.

중견 건설사인 태영건설은 아파트 브랜드 '데시앙'으로 지방과 수도권에서 주택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2020년 티와이홀딩스 인적분할 과정에서 주요 계열사 지분이 이전되고 차입금은 남으면서 한 차례 재무안정성이 흔들렸던 경험이 있다. 여기에 신규 개발 사업 추진 과정에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보증과 자금 소요가 크게 늘었다. 이같은 변화가 태영건설의 유동성 위기설의 배경이 됐다.
실제 태영건설의 별도 기준 PF 보증 규모는 2020년 말 2조1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3조원까지 증가했다. 별도 기준 순차입금은 2021년 말 2925억원에서 지난해 9월 말 4556억원까지 치솟았다. 지난해 4분기 이후 특수관계자 유동화증권 매입과 자금대여 등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말 기준으로는 순차입금이 6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됐다. 올 1월 주주사인 티와이홀딩스로부터 4000억원을 차입하는 등 추가 현금 확보를 통해 단기적인 유동성 부담을 완화했지만 PF 보증 관련 리스크 해소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게 업계 관측이다.
만기별로 보면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유동화전자단기사채(ABSTB)는 2375억원이다. 태영건설에 크게 부담이 되는 수준은 아니다. 다만 보증 PF 론 중 8142억원이 올해 만기가 돌아와 차환 부담이 있다. 특히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PF 론 중 오는 5월 만기인 구미 꽃동산민간공원특례사업(1400억원)의 경우 태영건설이 시행 지분을 보유한 실질적 자체 사업에 해당돼 우려 섞인 시선을 받고 있다. 오는 6월 만기가 돌아오는 724억원 규모 김해 삼계지구개발사업도 마찬가지다.
<알부자>(알면 부자 되는 기업 분석)는 기업의 현금흐름과 차입금 구조, 재무 리스크(위험)를 분석하는 코너입니다. 개인 투자자들이 탄탄한 기업을 고르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깊이 있는 내용을 전달하겠습니다. 한경닷컴(www.hankyung.com)에 로그인하면 연재 기사를 비롯해 알찬 건설·부동산 이야기를 놓치지 않고 볼 수 있습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