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짜리 와인까지 구해드려요"…희귀 품종에 매혹된 애호가들

Cover Story

신세계 부르고뉴 와인 전문숍 ‘버건디&’

와인수 900여개 100억 규모
프랑스 부르고뉴 와인만 취급

회사 인적 네트워크 총동원
'숨은 와인 찾아주는 곳' 명성

최고 소믈리에가 매장 지켜
"부르고뉴 와인 마니아들의
끈끈한 커뮤니티 만들 것"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의 부르고뉴 와인 전문숍 ‘버건디&’
취급하는 프랑스 부르고뉴 와인 상품 수만 900여 개. 가장 비싼 와인의 판매가는 2억1500만원. 142㎡ 남짓 매장에 진열된 와인 가격을 모두 합치면 100억원.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의 부르고뉴 와인 전문숍 ‘버건디&’을 표현하는 숫자들이다. 버건디&의 버건디(Burgundy)는 부르고뉴(Bourgogne)의 영어식 표현이다. 프랑스 부르고뉴산 와인을 전문적으로 판다. 부르고뉴 지역은 프랑스 전체 포도밭 면적의 3%밖에 안 돼 생산량이 적다. 이런 까닭에 버건디&이 2021년 문을 열 때만 해도 “매대를 채울 수나 있겠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세계적 희귀와인도 판매

김민주 소믈리에(왼쪽부터), 조은식 버건디& MD, 마르샬 정 셀라프리베 이사가 와인을 시음하고 있다. /이솔 기자
이런 주변의 시선에도 불구하고 신세계가 ‘부르고뉴 와인 마니아’를 노리겠다는 전략은 적중했다. 버건디&은 희귀 와인을 찾는 애호가들 사이에서 ‘숨은 보석을 찾아주는 곳’으로 통한다.

부르고뉴 현지에 네트워크를 둔 와인수입사 셀라프리베와 협업해 발군의 소싱 역량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르고뉴 와인 애호가들 사이에 버건디&의 능력이 입소문을 탄 건 지난해 ‘도멘 앙리 자이에 에셰조’를 매입한 게 결정적 계기가 됐다.‘부르고뉴의 전설’ ‘와인의 장인’이라 불리는 양조업자 앙리 자이에는 2006년 타계했다. 주류업계에선 그가 만든 와인은 사실상 시중에 유통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마르샬 정 셀라프리베 총괄이사는 회사가 보유한 인적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이 와인을 구했다. 버건디&은 프랑스 인증 기관을 통해 정품 여부를 확인한 뒤 이 와인을 찾던 고객에게 전달했다. 가격은 6600만원이었다.

버건디&에서 판매하는 가장 비싼 와인은 2억1500만원에 달하는 ‘도멘 르로아 뮈지니’다. 연간 500병만 생산돼 세계 부르고뉴 와인 애호가들이 이 와인을 두고 경쟁한다. 조은식 버건디& 상품기획자(MD)는 “이렇게 적게 생산되는 와인은 생산자와 깊은 개인적 인연을 맺고 있는 애호가에게 최우선으로 전달될 공산이 크다”며 “일반인을 상대하는 소매 업장에서 구입할 기회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최고 전문가가 응대

희귀 와인을 구할 수 있다는 점 이외에 버건디&이 강조하는 건 ‘와인을 매개로 한 고객과의 소통’이다. 애호가들이 많이 찾는 매장인 만큼 버건디&은 와인에 대한 전문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인물을 영입했다.버건디& 오픈 때부터 함께했던 김민주 소믈리에는 국내 최초의 여성 어드밴스드 소믈리에다. 그는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국내 유일의 소믈리에 대회 ‘코리아 소믈리에 오브 더 이어’에서 2019년 우승했다. 김 소믈리에는 매장을 찾는 소비자들이 대부분 ‘부르고뉴 마니아’인 만큼 그들을 위한 커뮤니티를 만들 계획이다. 그는 “직업이 의사인 단골손님은 쉬는 시간마다 부르고뉴 밭 구역을 지도 위에 그려본다고 한다”며 “부르고뉴 와인을 찾는 사람들은 와인에 대한 전문 지식을 나누길 원한다”고 말했다.

김 소믈리에도 갈수록 높아지는 고객들의 눈높이에 맞춰 ‘와인계의 고시(高試)’로 통하는 마스터 소믈리에 시험에 도전할 예정이다. 1969년 영국에서 시작된 마스터 소믈리에는 와인업계에서 최고 권위를 인정받는 최초의 전문 자격시험이다.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내로라하는 소믈리에 가운데 합격자 수가 매년 한 자릿수에 불과하다. 지난해까지 합격자는 약 250명이다. 국내에선 2016년 김경문 소믈리에가 최초의 한국인 마스터 소믈리에가 됐다.김민주 소믈리에는 버건디&에서 와인 애호가들이 그들의 커뮤니티를 끈끈하게 이어갈 수 있도록 도울 생각이다. 그는 “와인 커뮤니티는 결속력이 끈끈한 편”이라며 “한국의 와인 시장이 성장기에 있는 만큼 와인 애호가 사이에서 커뮤니티에 대한 수요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