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으로 몰린 '코로나 세대'…작년 사교육비 26조 '역대 최대'

초·중·고교생 참여율도 78%로 역대 최고…주당 평균 7.2시간
참여학생 1인당 월평균 52만원…초등·국어 증가율 크고 양극화 뚜렷

일상회복 속에 '코로나 세대'의 학습결손 우려가 커지면서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이 역대 최고치인 26조원을 기록했다.중·고등학생보다는 초등학생, 영어·수학보다는 국어과목의 사교육비 증가세가 가팔랐다.
교육부와 통계청은 전국 초·중·고교 약 3천곳에 재학중인 학생 7만4천명가량을 대상으로 '2022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를 공동 실시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조사 대상 사교육비는 초·중·고교생이 학교 정규교육과정 외에 사적 수요에 따라 개인적으로 지출하는 학원비·과외비·인터넷강의비 등이다.EBS교재비와 어학연수비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 전년比 11% 늘어난 26조원…총액·1인당 사교육비·참여율 모두 최고
지난해 초·중·고교생이 쓴 사교육비 총액은 약 26조원이었다.1년 사이 학생 수는 0.9% 줄었는데도(532만명→528만명) 총액은 2021년(23조4천억원) 대비 10.8% 늘었고, 2007년 조사 시작 이래 사상 최고치였던 전년도 기록도 한 해 만에 갈아치웠다.

사교육 참여율은 78.3%로 2021년(75.5%) 대비 2.8%포인트 상승해 역시 최고치를 기록했고, 주당 사교육 참여시간은 7.2시간으로 0.5시간 증가했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전체 학생(사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 포함)을 놓고 보면 41만원으로 1년 사이 11.8% 늘었다.사교육에 참여한 학생만 놓고 보면 52만4천원으로 7.9% 증가했다.

사교육 참여율은 코로나19에 감염 우려가 크고 방역기준이 엄격했던 2020년 67.1%로 떨어졌다.

하지만 등교가 정상화된 2021년에는 75.5%를 기록하며 코로나 이전 수준(2019년 74.8%)을 넘어섰고, 지난해에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원격수업 등으로 코로나19 세대의 학력격차 우려가 커지면서 사교육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사교육비 액수는 고등학생이 컸지만, 증가폭은 초등학생이 가장 가팔랐다.

전체 학생을 놓고 보면 초등학생의 1인당 사교육비는 월평균 37만2천원으로 전년 대비 13.4%(4만4천원) 높아졌다.

중학생은 43만8천원으로 11.8%(4만6천원), 고등학생은 46만원으로 9.7%(4만1천원) 올랐다.

사교육 참여학생의 경우 초등학생은 월평균 43만7천원(3만7천원, 9.2%↑), 중학생은 57만5천원(3만9천원, 7.4%↑), 고등학생은 69만7천원(4만8천원, 7.3%↑)을 썼다.

코로나19 초기 초등학생의 사교육이 가장 많이 위축됐는데 방역기조 완화에 따라 회복세가 이어진 것은 물론, 학습결손에 대한 우려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를 학년별로 보면 고등학교 1학년(전체학생 49만1천원·참여학생 70만6천원)이 가장 높았다.

지출한 사교육비를 구간별로 보면 월평균 40만원 미만을 지출한 학생의 비중은 전년 대비 줄었지만, 월평균 70만원 이상을 쓴 학생 비중은 19.1%로 전년보다 3.3%포인트 늘어 사교육비 규모도 양극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 액수는 영어·증가폭은 국어가 높아…"언어습득 영향 보충 수요"

과목별로 보면 일반교과·논술과 예체능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일반교과의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전체학생 기준 31만원, 참여학생 기준 49만원으로 전년대비 각 10.2%와 6.5% 늘었다.

전체학생을 기준으로 지출 규모를 보면 영어 12만3천원, 수학 11만6천원, 국어 3만4천원 순으로 지출이 컸는데 증가율은 국어(13.0%), 영어(10.2%), 수학(9.7%) 순이었다.

사회·과학은 9.5% 늘었다.

코로나19 시기 원격수업에 따른 학습 결손과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언어발달 저하 영향 등을 사교육으로 만회하려는 학생·학부모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심민철 교육부 디지털교육기획관은 "코로나 기간 초등학생의 경우 언어 습득, 글을 읽는 문해력(이 영향을 받아), 짧은 글을 쓰게 되고 (대면수업) 공백기간 동안 결손에 대한 보충 수요가 학부모들에게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소득수준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가구의 월평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과 참여율이 높았다.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사교육비는 64만8천원으로 전체 구간에서 가장 높았고, 300만원 미만 가구의 사교육비는 17만8천원으로 가장 낮았다.

사교육 참여율 역시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경우 88.1%로 전체 구간 가운데 가장 높았고, 300만원 미만 가구는 57.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교육의 목적은 일반교과의 경우 학교수업 보충(50.0%), 선행학습(24.1%)이라는 응답 비중이 높았고, 예체능 관련은 취미·교양 및 재능계발(63.4%) 비중이 가장 높았다.

방과후 학교 지출 총액은 6천886억원으로 전년 대비 55.3% 증가했고, 어학연수 지출 총액은 376억원으로 205.2% 늘었다.다만, 증가율이 높은 것과 관련해 박은영 기획재정부 복지통계과장은 "어학연수는 코로나 이후로 많이 줄어서 전체적으로 총액이라든지 참여 비율이 아직 정상화되지 못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