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브릿지바이오, 연골무형성증 2상 결과에 주가 고공행진
입력
수정
[이우상의 글로벌워치] 바이오마린 경쟁약 대비 우위
8일 업계에 따르면 브릿지바이오는 ‘인피그라티닙’의 2상 중간결과를 지난 3일(미국 시간) 나스닥 시장 폐장 이후 공개했다. 브릿바이오의 주가는 이번주 개장과 동시에 급등하기 시작했다. 6일에 51.98% 폭등했고, 간밤 12.29% 더 오른 18.55달러로 장을 마쳤다.인피그라티닙의 2상 중간결과는 경쟁약인 바이오마린의 ‘복스조고’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다.
1일 1회 체중 1kg당 인피그라티닙 0.25mg을 투약한 고용량군(코호트5)에서 연골무형성증을 앓는 소아의 연간 키 성장은 평균 6.77㎝를 기록했다. 이는 연골무형성증 환자 어린이가 한 해에 평균 3.73㎝ 자란 데 비해 3.04㎝ 더 큰 것이다(p값=0.0022). 이보다 투약 용량이 적은 코호트4에서도 1.52㎝ 더 자랐다.
코호트5에서 약물에 대한 반응률은 80%였다(10명 중 8명). 임상시험에 참여한 아이들의 평균 나이는 만 7.24세였다. 브릿지바이오는 고용량 코호트에서도 심각한 부작용(TRAE) 없이 안정적인 내약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부작용(AE)으로 인한 투약 중단도 없었다.복스조고는 임상 3상에서 위약 대조군 대비 투약군의 키가 연간 1.57㎝ 더 자랐다. 인피그라티닙의 임상 3상 투여 용량은 내약성과 함께 가장 우수한 효능을 확인한 코호트5의 수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인피그라티닙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아 시장에 나올 경우 복스조고 대비 효능이 더 우수한 약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복스조고 3상은 60명에게 투약한 것이며, 인피그라티닙의 코호트5 환자 수는 10명에 그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복스조고는 2021년 FDA 승인을 받은 첫 연골무형성증 치료제다. 지난해 1억6900만달러(약 22003억원)어치가 판매됐다.
연골무형성증은 유전적 문제로 뼈가 제대로 성장하지 않는 병이다.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3(FGFR3)의 돌연변이가 원인이다. 사지가 불균형하게 성장하며, 치료받지 않으면 성인이 됐을 때 최종 신장이 135㎝를 넘기기 어렵다. 인피그리티닙은 FGFR3를 억제하는 저분자화합물이다. 복스조고는 FGFR3 신호전달 과정을 억제한다. 브릿지바이오는 임상 결과 발표 직후인 지난 6일 1억5000만달러 규모의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발표했다. 참여자는 보통주를 추가로 구매할 수 있는 권리(옵션)도 부여된다.
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이 기사는 바이오·제약·헬스케어 전문 사이트 <한경 BIO Insight>에 2023년 3월 8일 15시 40분 게재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