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욱 센트비 대표 "해외송금 서비스로 미국 시장에도 진출…규제와 싸우며 맷집 키웠죠"
입력
수정
지면A14
외환시장 정보 비대칭에 문제의식“핀테크 업체가 해외 송금 사업을 하겠다고 하니 벤처캐피털(VC)에 정말 인기가 없었죠. 개념도 어렵고, 규제도 안 풀린 상태였고요.”
"이용자 수수료 1800억원 절감
아시아 1위 해외송금업체 될 것"
최성욱 센트비 대표(사진)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회사를 설립한 2015년 이후 3년가량의 시간을 이렇게 회상했다. 그는 “초창기부터 규제와 투자로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이 지금의 성장에 큰 밑거름이 됐다”고 말했다.최 대표는 창업 전 외환중개사로 일했다. 외화 거래에서 벌어지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느꼈고, 이로 인한 이용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마침 정부도 규제를 풀어주겠다고 했다. 외국환거래법을 바꿔 시중은행뿐 아니라 스타트업도 해외 송금 서비스를 할 수 있게 해주겠다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법이 하루아침에 바뀌진 않았다. 외국환거래법이 개정되고 관련 제도가 정비되던 2015~2018년 센트비는 수차례 고비를 겪어야 했다. 초창기에는 규제를 피해 비트코인을 해외로 송금하는 사업을 했다. 그러던 중 가상자산 해외 송금이 불법이라는 판정을 받아 서비스를 접었다. 이후 법 개정에 따라 가상자산 송금업을 하려면 정부의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했다.
어렵게 면허를 받았지만 다른 규제가 발목을 잡았다. 법 개정과 함께 해외 송금 핀테크 업체가 금융회사로 분류됐는데, VC는 금융회사에 투자할 수 없게 돼 있었다. 외국환거래법은 바뀌었지만 벤처투자촉진법 정비가 되지 않아 생긴 문제였다.그는 “계약서 날인하기 사흘 전 VC로부터 투자를 법적으로 못 한다고 연락이 왔다”며 “60명 정도였던 직원을 25명으로 줄이고, 남은 직원들에게 한 달만 기다려 달라고 간청했다”고 말했다. 그야말로 벼랑 끝에 몰린 그는 언론 등을 통해 어려움을 호소했고, 정치권까지 목소리가 닿으면서 벤처투자촉진법이 개정돼 VC 투자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외환 송금 사업에 대한 생소한 인식도 어려움으로 작용했다. 투자자에게 직관적으로 와닿지 않는 분야이고, 국내에서도 한국인이 아닌 외국인을 주로 겨냥한 사업이었다.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냥 이 사업이 너무도 하고 싶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잡초’처럼 버텨온 센트비는 2019년 규제 문제가 대부분 해결되며 성장 가도를 달렸다. 자체 기술인 자동외환헤징시스템(AHS)을 도입해 기존 수수료보다 최대 90% 낮추고, 빠른 송금 속도와 간편한 절차로 외화 송금 및 결제 서비스의 단점을 보완했다. 국내 소액해외송금업자 중 유일하게 외환 리스크 관리를 위한 L&C(Legal & Compliance) 조직을 갖추며 혁신 핀테크 기업으로 성장했다. 매출과 거래액도 꾸준히 늘었다. 센트비를 통해 지금껏 이용자가 절감한 금액이 약 1800억원 수준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싱가포르, 인도네시아에 이어 올해 초에는 외환 송금 시장이 가장 큰 미국에도 진출했다. 2021년 기준 미국에서 해외로 나가는 개인 송금 규모는 727억달러(약 96조원)에 이른다. 최 대표는 “이제야 메이저리그에서 뛰는 셈”이라고 했다.
센트비는 미국에서 한국 또는 동남아시아 국가로 송금되는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연말에는 미국에서 기업들이 해외 송금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2025년까지 아시아 해외 송금 분야 1위 기업이 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최 대표는 “올해는 글로벌 플레이어들과 경쟁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