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규 KB금융 회장, 작년 보수 18억…금융지주 회장 중 '최고'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15억원
카뱅, 평균 연봉 1억4600만원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이 지난해 국내 금융지주 회장 가운데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원은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의 평균 연봉이 가장 많았다.

8일 주요 금융지주와 은행의 공시에 따르면 윤 회장은 지난해 성과급 9억3000만원을 포함해 모두 18억40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2021년 받은 17억3000만원(성과급 8억8000만원)보다 1억1000만원 늘었다.

이달 임기가 끝나는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지난해 급여 9억원을 받았다. 조 회장은 라임펀드 사태와 관련해 금융당국으로부터 경징계를 받은 뒤 내규에 따라 유보된 성과급을 아직 받지 못해 상대적으로 보수가 적었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작년 15억3000만원(성과급 7억1000만원)을 받았다. 2021년 김정태 전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보수(24억원)보다 8억7000만원 적다. 우리금융은 이달 퇴임하는 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과 이원덕 우리은행장, 사외이사 7명 등 등기임원 보수 총액(19억3000만원)만 공시했다. 손 회장의 정확한 연봉은 이달 공시 예정인 우리금융 사업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을 전망이다. 2021년 손 회장은 11억1200만원(성과급 3억1000만원)을 받았다.지난해 주요 은행 임직원의 평균 연봉은 이자 이익 확대로 늘어난 성과급 영향으로 전년보다 증가했다. 국민은행의 임직원 평균 보수는 1억1300만원으로 2021년(1억1100만원)보다 1.8% 늘었다. 우리은행 임직원은 평균 1억400만원을 받았다. 2021년(9800만원)과 비교해 6.1% 증가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지난해 평균 보수를 밝히지 않았지만 2021년 기준 각각 1억620만원과 1억600만원으로 모두 1억원을 넘겼다. 카카오뱅크의 작년 임직원 평균 보수는 1억4600만원으로 주요 은행 중 가장 많았다. 카카오뱅크는 스톡옵션 행사 차익(542억원)을 빼면 인당 보수는 1억700만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