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정, 생물다양성 보전, 정원 플랫폼 기관 ‘우뚝’...탄소중립 실현 본격화

탄소흡수계수 개발, 자생식물 활용
정원도시 숲 조성 등 탄소중립 선도
자연과 국민 연결하는 산림생물자원
2050 중장기 탄소중립 경영전략 추진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 운영하는 국립세종수목원 특별전시온실 모습.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제공
산림청 산하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하 한수정·이사장 류광수)이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중장기 경영전략을 새롭게 개편했다. 한수정은 미세먼지·열섬현상 저감 및 탄소중립·녹색성장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고 9일 밝혔다.

한수정은 도심 탄소흡수원의 기능 증진을 위한 △탄소흡수 능력이 높은 관목 우수 수종 선발 및 탄소흡수계수 개발 △미세먼지 및 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정원 소재 가능성 연구 △정원소재 보급·확산을 위한 증식·재배 기술 개발 △도심 탄소흡수원 기능 확대를 위한 식재 모델 및 관리기술 개발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한수정은 국내 처음으로 탄소흡수 능력이 높은 관목 우수종 10종을 발굴하고, 국내 관목의 유통량 기준 상위 5종에 대한 탄소흡수계수를 개발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렸다.
관목 탄소흡수계수 개발
한수정은 지난해부터 탄소흡수 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탄소흡수계수는 국가 온실가스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분류된다. 한수정은 국내 유통량의 95%를 차지하고 있는 상위 관목 30종 중 사철나무, 산철쭉, 조팝나무 등 5종에 대한 탄소흡수계수를 개발했다.

정원 조성에 주로 사용되는 3년생을 기준으로 탄소저장량이 높은 그룹을 선정해 히어리, 박태기나무, 병꽃나무, 낙상홍 등 10종을 최종 선별했다. 한수정 관계자는“이 사업을 통해 정원·도시숲 식재 모델이 제시됐다”며 “이 모델은 400㎡당 연간 최대 1.6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어 학계와 업계에 큰 관심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생 식물을 활용한 도시환경 적합 정원소재 개발사업도 펼치고 있다. 한수정은 부싯깃고사리, 파초일엽, 완도호랑가시나무 등 실내 환경 적응 우수 자생식물 3종과 ‘스카이댄서’ 등 실외 환경 적응 우수 자생식물 2종의 경쟁력을 입증했다.정원 네트워크 활용을 통한 신규 정원식물 산업화에도 나서고 있다. 한수정은 바위고사리, 홍지네고사리 등 실내 정원 식물에 대해 해외 품종 고사리와 비교할 때 미세먼지 흡착능 기능이 1.5배 이상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국내 고사리의 해외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직원들이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회복정원을 조성하고 있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제공
생활밀착형 정원 조성 앞장
한수정은 ‘정원드림 프로젝트’를 통한 전문인력 양성과 도시재생에 앞장서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정원을 디자인하고 조성 및 관리하는 현장 실습형 공모전이다. 이 사업에 참여한 취업 준비생 및 예비 창업자들은 정원작가의 멘토링을 통해 정원 설계부터 시공까지 모든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지난 3년간 75개 팀이 참가해 실내·외 정원을 조성했다.

시민과 생활밀착형 정원 조성사업도 추진한다. 공동·다중이용시설을 활용해 녹색생활 공간을 확충하는 사업으로 2020년 5개소, 2021년 12개소, 지난해 38개소 등 55개소의 생활밀착형 정원을 조성했다.한수정은 올해 미세먼지·열섬현상 저감 및 탄소중립·녹색성장 실현을 위해 △권역별 산림생물자원 보전·복원 체계 확립 △산림 바이오 및 정원산업 혁신성장 강화 △국민 체감형 서비스 고도화 △지속할 수 있는 조직체계 혁신 등 4대 핵심 전략을 추진할 방침이다.

류광수 이사장은 “미세먼지·열섬현상 저감 및 탄소중립·녹색성장과 관련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는 등 탄소중립 디딤돌 역할을 했다”며 “올해는 탄소흡수원 식재 모델 및 관리 기술개발, 탄소흡수 효과에 대한 측정·평가 체계구축 등 생활권역 탄소흡수 증진에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