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美 시그니처은행, SVB 사태로 하루 13조원 뱅크런"
입력
수정
'도드-프랭크법' 만든 프랭크 이사 "당국이 反가상화폐 메시지 보낸 것"
뉴욕주지사 "이미 10일에 개입 결정…예금보호대책 발표 기다렸을 뿐" 최근 일주일 사이 세 번째로 무너진 미국 은행 시그니처은행에서 하루 10조원이 넘는 뱅크런(대량 인출 사태)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이사인 바니 프랭크 전 하원의원은 13일(현지시간) CNBC 방송 인터뷰에서 "우리는 금요일 늦게 예금 인출 사태를 당하기 전까지 문제의 조짐이 전혀 없었다"며 지난 10일 하루에만 100억달러(약 13조원) 이상의 예금이 빠져나갔다고 말했다.
당일 뱅크런은 "순전히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에서 전염된 것"이라면서 SVB발 공포 심리가 퍼진 탓에 고객들이 예금을 인출해 체이스 은행이나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대형 은행으로 옮겼다고 프랭크 전 의원은 전했다.
CNBC에 따르면 지난 2001년 뉴욕주에서 설립된 시그니처은행은 부동산, 법조계와 주로 거래하며 대형 시중은행과 달리 '기업 친화적'으로 운영됐다. 뉴욕에서 부동산 개발업에 종사하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집안과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사업 자금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2021년 1월 트럼프 지지자들의 연방의회 폭동 사태 이후 관계를 끊고 트럼프 퇴진을 요구하기도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서부로도 진출한 시그니처은행은 2018년 가상화폐 산업에 적극적으로 발을 담그면서 사세를 급속히 확장했다. 가상화폐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위해 365일 하루 24시간 결제 시스템을 구축했고, 디지털 자산과 관련해 165억달러(약 21조5천억원)의 예금을 유치한 것으로 집계됐다.
발 빠르게 가상화폐 분야에 진출한 것은 양날의 검이 됐다.
지난 1년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한 여파로 실리콘밸리의 테크 업계와 가상화폐 등 '거품이 많이 낀' 자산에 많이 노출된 중소 규모 은행들이 잇따라 무너진 것이 시그니처은행에 악재가 된 것이다. 가상화폐 전문 은행 실버게이트가 지난 9일 자체 청산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 10일 미 금융당국의 개입으로 SVB가 전격 파산 절차에 돌입하면서 '다음 차례가 될지 모른다'는 공포 심리가 확산, 뱅크런을 촉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상황이 긴박하게 흘러가면서 시그니처은행 경영진은 추가 자본 조달과 잠재적 인수자를 물색하는 등 "모든 수단"을 탐색했고, 주말 들어 '예금 엑소더스'가 잦아들면서 상황이 안정되는 것처럼 보였다고 프랭크 전 의원은 전했다.
그러나 일요일인 12일 저녁 뉴욕주 금융서비스부가 시그니처은행을 폐쇄하고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를 파산관재인으로 임명하면서 이 은행은 SVB의 전철을 그대로 밟게 됐다.
은행 측이 작년 말 공시한 자료에 따르면 시그니처은행은 모두 40개 지점을 운영하며 총자산 1천103억6천만달러, 총예금 885억9천만달러를 각각 보유 중이었다.
2008년 금융위기 후 은행 규제 강화법인 '도드-프랭크법'을 발의한 것으로 잘 알려진 프랭크 전 의원은 당국의 압류 조치에 대해 "객관적인 이유가 없다"며 반발하기도 했다.
그는 "규제당국이 매우 강력한 '반(反) 가상화폐' 메시지를 전달하기를 원했던 것"이라며 "펀더멘털을 고려할 때 지급불능 가능성이 없었지만 우리는 시범 케이스가 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주 당국이 이미 10일 저녁 시그니처은행에 대한 개입을 결정했으나, 보험 한도를 초과한 예금에 대한 연방 규제당국의 보호 대책 발표를 기다렸을 뿐이라고 밝혔다. 에이드리엔 해리스 뉴욕주 금융서비스국장은 "금요일(10일)에 목격한 자금 유출의 규모 때문에 주말에 조치를 취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뉴욕주지사 "이미 10일에 개입 결정…예금보호대책 발표 기다렸을 뿐" 최근 일주일 사이 세 번째로 무너진 미국 은행 시그니처은행에서 하루 10조원이 넘는 뱅크런(대량 인출 사태)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이사인 바니 프랭크 전 하원의원은 13일(현지시간) CNBC 방송 인터뷰에서 "우리는 금요일 늦게 예금 인출 사태를 당하기 전까지 문제의 조짐이 전혀 없었다"며 지난 10일 하루에만 100억달러(약 13조원) 이상의 예금이 빠져나갔다고 말했다.
당일 뱅크런은 "순전히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에서 전염된 것"이라면서 SVB발 공포 심리가 퍼진 탓에 고객들이 예금을 인출해 체이스 은행이나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대형 은행으로 옮겼다고 프랭크 전 의원은 전했다.
CNBC에 따르면 지난 2001년 뉴욕주에서 설립된 시그니처은행은 부동산, 법조계와 주로 거래하며 대형 시중은행과 달리 '기업 친화적'으로 운영됐다. 뉴욕에서 부동산 개발업에 종사하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집안과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사업 자금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2021년 1월 트럼프 지지자들의 연방의회 폭동 사태 이후 관계를 끊고 트럼프 퇴진을 요구하기도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서부로도 진출한 시그니처은행은 2018년 가상화폐 산업에 적극적으로 발을 담그면서 사세를 급속히 확장했다. 가상화폐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위해 365일 하루 24시간 결제 시스템을 구축했고, 디지털 자산과 관련해 165억달러(약 21조5천억원)의 예금을 유치한 것으로 집계됐다.
발 빠르게 가상화폐 분야에 진출한 것은 양날의 검이 됐다.
지난 1년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한 여파로 실리콘밸리의 테크 업계와 가상화폐 등 '거품이 많이 낀' 자산에 많이 노출된 중소 규모 은행들이 잇따라 무너진 것이 시그니처은행에 악재가 된 것이다. 가상화폐 전문 은행 실버게이트가 지난 9일 자체 청산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 10일 미 금융당국의 개입으로 SVB가 전격 파산 절차에 돌입하면서 '다음 차례가 될지 모른다'는 공포 심리가 확산, 뱅크런을 촉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상황이 긴박하게 흘러가면서 시그니처은행 경영진은 추가 자본 조달과 잠재적 인수자를 물색하는 등 "모든 수단"을 탐색했고, 주말 들어 '예금 엑소더스'가 잦아들면서 상황이 안정되는 것처럼 보였다고 프랭크 전 의원은 전했다.
그러나 일요일인 12일 저녁 뉴욕주 금융서비스부가 시그니처은행을 폐쇄하고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를 파산관재인으로 임명하면서 이 은행은 SVB의 전철을 그대로 밟게 됐다.
은행 측이 작년 말 공시한 자료에 따르면 시그니처은행은 모두 40개 지점을 운영하며 총자산 1천103억6천만달러, 총예금 885억9천만달러를 각각 보유 중이었다.
2008년 금융위기 후 은행 규제 강화법인 '도드-프랭크법'을 발의한 것으로 잘 알려진 프랭크 전 의원은 당국의 압류 조치에 대해 "객관적인 이유가 없다"며 반발하기도 했다.
그는 "규제당국이 매우 강력한 '반(反) 가상화폐' 메시지를 전달하기를 원했던 것"이라며 "펀더멘털을 고려할 때 지급불능 가능성이 없었지만 우리는 시범 케이스가 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주 당국이 이미 10일 저녁 시그니처은행에 대한 개입을 결정했으나, 보험 한도를 초과한 예금에 대한 연방 규제당국의 보호 대책 발표를 기다렸을 뿐이라고 밝혔다. 에이드리엔 해리스 뉴욕주 금융서비스국장은 "금요일(10일)에 목격한 자금 유출의 규모 때문에 주말에 조치를 취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