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연 "서울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수준으로 발전시킬 것"(종합)
입력
수정
AI융합 진로직업교육원 설립…반도체 거점학교 6곳, 반도체 마이스터고도 추진 서울시교육청은 2025년까지 서울 지역 특성화고의 직업교육을 강화해 마이스터고 수준으로 발전시키는 '서울형 마이스터고' 정책을 도입하겠다고 14일 밝혔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이날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디지털 전환과 학령 인구 감소 등 미래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서울형 마이스터고'를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에는 현재 특성화고 70개(2개는 2024년에 폐교 예정)와 마이스터고 4개가 있다.
특성화고는 교육과 현장실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이며, 마이스터고는 산업수요에 맞춘 직업교육을 보다 강화한 학교다. 조 교육감은 "서울형 마이스터고의 가장 큰 특징은 산업변화에 대응하는 고숙련 실무인재 양성을 위해 반도체와 디지털 분야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라며 "교육청이 개발하는 체계적인 연차별 성과관리 시스템을 통해 교육 수준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기존 특성화고에 ▲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 프로젝트 수업 및 디지털 기반 교육 ▲ 산·학·관 협력 체제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할 예정이다.
올해부터 2024년까지는 특성화고 중 선도학교 20개를 선정해 서울형 마이스터고로 시범 운영한다. 평가 결과에 따라 2025년에는 대부분의 특성화고(교육청 추산 64개)에도 서울형 마이스터고 정책을 도입한다.
이와 더불어 서울시교육청은 직업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AI 융합 진로직업교육원 설립을 추진하고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거점학교를 운영한다고도 밝혔다.
AI 융합 진로직업교육원에서는 단위학교의 진로교육과 신산업·신기술 교육 지원, 미래 기술 분야 교원 연수 강화를 위해 4차 산업 신기술 교육장을 구축한다. 초·중·고 대상 진로직업교육과 체험활동 및 시민들의 평생교육 프로그램도 지원할 예정이다.
반도체 거점학교는 2023학년도에는 2개, 2025학년도까지는 총 6개를 선정해 운영할 계획이다.
거점학교 운영비, 산업수요 맞춤형 학과 개편, 반도체 분야 학교 밖 교육기관 발굴, 전문가 인력풀 구축 등을 통해 학교들을 지원한다.
이 밖에도 서울시교육청은 반도체 마이스터고 1곳 설립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블록체인 분산신원인증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학생증을 서울 직업계고에 도입할 예정이다.
스마트 학생증은 모바일 앱을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신분 인증 이외에도 학습 이력, 실무 경험과 경력 개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된다.
아울러 서울시교육청은 새로운 서울직업교육 슬로건으로 '하이잡(high-Jop), 하이유(high-Univ.)'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슬로건은 시민 공모로 선정됐으며 더 질 높은 직업 교육과 취업 매칭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한편 조 교육감은 지난해 6월부터 올해 1월까지 쓴 업무추진비에 선결제 의혹 등 석연찮은 부분이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사실 관계는 파악 중"이라며 "업무추진비는 공적 업무 이외에 사용하지 않는다.
늘 조심해서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최근 학교폭력 피해자들의 기숙형 교육기관인 '해맑음센터' 서울 이전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점에 대해서 서울시교육청은 'With Wee센터'(학교폭력피해자 전담 심리치료 지원기관), 'Wee센터'(통합상담기관), 'Wee클래스'(학교상담교실) 등 서울 내 학교폭력 지원체계가 이미 구축되어 있고, 장소를 이전할 부지도 없어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서울 학생들의 기초학력 진단검사를 외부에 공개할 수 있게 하는 조례안(서울시교육청 기초학력 보장지원에 관한 조례안)이 최근 서울시의회에서 통과된 점에 대해서 조 교육감은 "(진단 결과를 공개한다는) 조항 자체가 의무 조항은 아니다"라면서도 "결과를 공개하는 것에 저희도 솔직히 우려하고 있다.
학교 서열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회 측에 재의 요구를 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이 부분은 여러 쟁점이 있어서 조심스럽다.
여러 의견을 종합해서 기한(이송받은 날부터 20일 이내) 안에 판단할 것"이라고 했다.
조 교육감은 또 서울시교육청이 유엔에 서울 학생인권조례 폐지 움직임과 관련해 교육부와 서울시의회 등을 조사해달라고 서신을 보냈냐는 질문에는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고 답했다.
앞서 유엔은 국내 학생인권조례 폐지 움직임과 관련 정부 입장을 묻기 위해 서울시교육청 등에 서한을 보냈는데, 서울시교육청이 답신에서 유엔이 한국을 공식 방문해 교육부와 서울시의회 등을 조사해달라고 요청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를 두고 조 교육감은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교육부, 서울시의회 등 관련 기관을 열거한 것인데 이것을 조사해달라고 (일각에서) 오해해서 당황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서울에는 현재 특성화고 70개(2개는 2024년에 폐교 예정)와 마이스터고 4개가 있다.
특성화고는 교육과 현장실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이며, 마이스터고는 산업수요에 맞춘 직업교육을 보다 강화한 학교다. 조 교육감은 "서울형 마이스터고의 가장 큰 특징은 산업변화에 대응하는 고숙련 실무인재 양성을 위해 반도체와 디지털 분야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라며 "교육청이 개발하는 체계적인 연차별 성과관리 시스템을 통해 교육 수준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기존 특성화고에 ▲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 프로젝트 수업 및 디지털 기반 교육 ▲ 산·학·관 협력 체제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할 예정이다.
올해부터 2024년까지는 특성화고 중 선도학교 20개를 선정해 서울형 마이스터고로 시범 운영한다. 평가 결과에 따라 2025년에는 대부분의 특성화고(교육청 추산 64개)에도 서울형 마이스터고 정책을 도입한다.
이와 더불어 서울시교육청은 직업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AI 융합 진로직업교육원 설립을 추진하고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거점학교를 운영한다고도 밝혔다.
AI 융합 진로직업교육원에서는 단위학교의 진로교육과 신산업·신기술 교육 지원, 미래 기술 분야 교원 연수 강화를 위해 4차 산업 신기술 교육장을 구축한다. 초·중·고 대상 진로직업교육과 체험활동 및 시민들의 평생교육 프로그램도 지원할 예정이다.
반도체 거점학교는 2023학년도에는 2개, 2025학년도까지는 총 6개를 선정해 운영할 계획이다.
거점학교 운영비, 산업수요 맞춤형 학과 개편, 반도체 분야 학교 밖 교육기관 발굴, 전문가 인력풀 구축 등을 통해 학교들을 지원한다.
이 밖에도 서울시교육청은 반도체 마이스터고 1곳 설립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블록체인 분산신원인증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학생증을 서울 직업계고에 도입할 예정이다.
스마트 학생증은 모바일 앱을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신분 인증 이외에도 학습 이력, 실무 경험과 경력 개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된다.
아울러 서울시교육청은 새로운 서울직업교육 슬로건으로 '하이잡(high-Jop), 하이유(high-Univ.)'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슬로건은 시민 공모로 선정됐으며 더 질 높은 직업 교육과 취업 매칭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한편 조 교육감은 지난해 6월부터 올해 1월까지 쓴 업무추진비에 선결제 의혹 등 석연찮은 부분이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사실 관계는 파악 중"이라며 "업무추진비는 공적 업무 이외에 사용하지 않는다.
늘 조심해서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최근 학교폭력 피해자들의 기숙형 교육기관인 '해맑음센터' 서울 이전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점에 대해서 서울시교육청은 'With Wee센터'(학교폭력피해자 전담 심리치료 지원기관), 'Wee센터'(통합상담기관), 'Wee클래스'(학교상담교실) 등 서울 내 학교폭력 지원체계가 이미 구축되어 있고, 장소를 이전할 부지도 없어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서울 학생들의 기초학력 진단검사를 외부에 공개할 수 있게 하는 조례안(서울시교육청 기초학력 보장지원에 관한 조례안)이 최근 서울시의회에서 통과된 점에 대해서 조 교육감은 "(진단 결과를 공개한다는) 조항 자체가 의무 조항은 아니다"라면서도 "결과를 공개하는 것에 저희도 솔직히 우려하고 있다.
학교 서열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회 측에 재의 요구를 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이 부분은 여러 쟁점이 있어서 조심스럽다.
여러 의견을 종합해서 기한(이송받은 날부터 20일 이내) 안에 판단할 것"이라고 했다.
조 교육감은 또 서울시교육청이 유엔에 서울 학생인권조례 폐지 움직임과 관련해 교육부와 서울시의회 등을 조사해달라고 서신을 보냈냐는 질문에는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고 답했다.
앞서 유엔은 국내 학생인권조례 폐지 움직임과 관련 정부 입장을 묻기 위해 서울시교육청 등에 서한을 보냈는데, 서울시교육청이 답신에서 유엔이 한국을 공식 방문해 교육부와 서울시의회 등을 조사해달라고 요청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를 두고 조 교육감은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교육부, 서울시의회 등 관련 기관을 열거한 것인데 이것을 조사해달라고 (일각에서) 오해해서 당황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