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소된 이재명 '셀프구제'…대표직 유지한다
입력
수정
지면A6
민주당 당무위서 '당헌 80조' 논의…직무정지 않기로
'정치탄압'으로 유권 해석
李도 "사건 조작 점입가경"
기소 당일 '속전속결 소집'에
비명계 "전례없는 결정" 반발
고강도 인적쇄신 요구할 듯
'금품 수수' 기동민·이수진도 유지
민주당은 이날 당무위원회를 열고 검찰의 이 대표 기소와 관련해 ‘당헌 80조’ 예외 사항에 해당한다고 유권해석을 내렸다. 이 대표 수사가 ‘정치 탄압’ 등 부당한 이유가 있다고 인정한 것이다. 당헌 80조는 부정부패 혐의로 기소된 당직자의 직무를 정지하되, 해당 수사가 정치보복으로 인정되면 당무위 의결로 이를 취소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예외 조항은 지난해 이 대표가 취임하기 직전 신설됐다.
김의겸 대변인은 당무위 후 기자들과 만나 “검찰의 정치적 탄압임이 너무나 명백하고, 탄압 의도에 대해 당이 단결·단합하는 모습을 신속히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며 “예상했던 상황이라 오래전부터 신속히 당무위를 열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찰이 압수수색, 체포영장 쇼를 벌여 정치적으로 활용하다가 정해진 답대로 기소한 것”이라며 기소의 부당함을 주장했다. 또 “사건 조작이 점입가경”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당 지도부가 기소 7시간 만에 당무위를 소집하는 등 발빠른 사태 진화에 나섰지만 비명계의 불만은 오히려 격화되는 분위기다. 통상 당무위 소집은 이틀 또는 사흘 전 공지되는 것이 관례다. 이 대표의 직무 정지 논란이 확산할 가능성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한 의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 비명계 의원은 “정상적인 당내 논의와 의견 수렴 절차도 없이 당일 당무위를 여는 것은 무리한 운영”이라며 “‘방탄정당’이라고 대놓고 밝히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의원은 “전례가 없는 결정은 오히려 반발을 키울 수 있다”고 했다.
비명계는 ‘친명계 일색’인 지도부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인적 쇄신을 더 강하게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김종민 의원은 이날 라디오에서 “이 대표나 측근들이 결정을 내려놓고 그리로 몰고 가는 듯해서 ‘방탄 의혹’을 받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계파색이 옅은 우상호 의원도 “당의 면모를 일신하는 쇄신책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당직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도부는 지명직 최고위원 중 한 명을 비명계인 송갑석 의원으로 교체하는 등의 인적 쇄신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당무위는 지난달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기소된 기동민·이수진 의원(비례)에 대해서도 당헌 80조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들은 20대 총선을 전후해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 등으로부터 금품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유정/원종환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