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이체방크도 흔들…국내은행 불안심리 전이
입력
수정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불똥이 크레디트스위스에 이어 도이체방크로 옮겨붙었습니다.국내은행들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경제부 신용훈 기자가 도이체방크 사태에 따른 국내은행 영향을 점검합니다.
이번 도이체방크 주가 급락의 원인은 CDS 프리미엄이 급등 했기 때문입니다.
이달 초 88bp 수준이던 도이체방크의 CDS 즉 신용부도스와프 프리미엄은 24일 239bp까지 치솟았습니다.CDS는 기업이 파산할 경우 손실을 보전해주는 파생상품인데 이 CDS의 프리미엄이 높으면 부도위험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도이체방크의 CDS 프리미엄이 치솟은 이유는 크레디트스위스가 UBS에 인수된 뒤 갖고 있던 조건부자본증권 즉 코코본드가 상각 처리 되면서부터 입니다.
코코본드란 은행 경영이 악화되면 투자자 동의없이 강제로 보통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상각된다는 조건이 붙은 회사채를 말합니다.크레디트스위스의 코코본드가 휴지조각이 되면서 불안심리가 또 다른 은행인 도이체방크로 옮겨간 겁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16년에 도이치뱅크는 발행되었던 코코본드에 대한 이자 지급을 제대로 제때 하지 못해서 사실 상당히 큰 곤욕을 치렀던 경험이 있습니다. 사례가 있기 때문에 코코본드에 대한 우려가 발생했을 때 우선적으로 우려가 제기되는 은행이 될 수밖에 없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도이체방크가 발행한 코코본드는 유럽 평균 보다 조금 많은 약 91억달러, 우리돈 12조원 규모입니다.
하지만 크레디트스위스의 상각된 코코본드 22조원과 비교하면 10조원이나 적습니다.
또 도이체방크의 지난해 순수익은 7조원으로 전년비 160% 성장했고 유동성커버리지 비율도 142%로 안정적 입니다.
해외발 위기에 불안심리가 가중되고 있는 국내 은행도 유동성 위기라 생각할 만한 데이터가 나오지 않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 입니다.
금융지주를 제외한 은행들의 코코본드 발행 규모는 12조원으로 전체 자산(250조원)의 5% 수준에 불과합니다 .
유동성커버리지비율은108%('22년 9월 집계)로 1년 전의 97%보다 11%포인트 가량 높아졌습니다.
CDS프리미엄 역시 45bp(17일 기준)수준으로 지난해 말 56bp에서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습니다
해외 은행발 불안심리만 아니면 투자자금이 급격히 빠져나갈 이유는 없는 셈입니다.
한국경제TV 신용훈 입니다.
영상편집 : 강다림CG : 신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