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원 광명시장 "7만가구 광명 신도시 짓는 중…구로차량기지 이전 기필코 막겠다"
입력
수정
지면A25
구로구 민원 해결하기 위해경기 광명시는 서울 구로공단의 베드타운으로 개발됐다. 1970~1980년대 경제 성장을 이끌던 구로공단 근로자들은 광명동, 철산동, 소하동에 조성된 아파트 단지에 차례로 입주했다. 30여 년이 흐른 지금 광명은 서울 서남부의 관문 도시로 변모했다. 산업화 과정에서 오염됐던 안양천변은 깨끗한 친수공간으로 탈바꿈했다. KTX 역세권에는 고층건물과 편의시설이 들어섰다. 3기 신도시 ‘광명시흥지구’ 건설이 추진되면서 광명은 한 단계 더 도약할 기회를 맞이했다.
광명시민 희생 강요는 안될 말
시내 한복판에 들어서면
미세먼지·소음 공해 뻔해
85만명 식수원 오염 우려도
신도시·테크노밸리 완료 땐
인구 50만 자족도시로 도약
그런데 최근 광명시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 전해졌다. 정부가 조만간 서울 구로1동에 있는 코레일 철도차량기지를 광명 한복판인 노온사동으로 옮기기 위한 타당성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로 한 것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기지 이전에 반대하는 선봉에 섰다. 광명시민들은 범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총궐기대회를 열며 반발하고 있다. 박 시장은 28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구로구의 소음, 진동, 분진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 광명시민을 희생시킨다는 건 받아들일 수 없는 얘기”라며 “시민들과 함께 끝까지 기지 이전을 막아내겠다”고 말했다. 수십 년간 서울의 베드타운에 머물다가 최근 수년 사이 대대적 변신을 꾀하고 있는 광명을 다시 ‘변두리’로 삼겠다는 논리라는 게 박 시장의 주장이다. 그는 “광명도 구로구 이상 가는 도시로 발전한 만큼 3기 신도시 정책이 수립되기 한참 전 마련된 이전 계획을 철회해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박 시장은 차량기지 이전을 반대하는 ‘5대 불가론’을 꺼내들었다. 첫 번째 이유로 그는 “정부와 코레일은 (기지 이전으로) ‘광명에 새 전철역이 생길 것’이라고 시민들을 호도하는데 이 역은 수리를 위한 차량만 20분 간격으로 드나들어 대중교통으로서 기능이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두 번째 이유로는 광명시민들이 겪게 될 미세먼지, 분진, 소음 공해를 꼽았다. 박 시장은 “소음 영향권에 있는 반경 500m 면적이 무려 240만㎡에 달하고, 광명시의 한가운데 있어 다수 시민의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지 200m 거리의 노온정수장이 오염될 우려가 크다”는 점도 반대 이유로 내세웠다. 노온정수장은 광명, 시흥, 부천, 인천 등 약 85만 명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시설이다. 네 번째는 ‘광명의 허파’인 도덕산과 구름산이 훼손된다는 것이다. 다섯 번째 이유로는 “인근에 조성 중인 광명시흥지구 주민들이 의사결정에서 배제될 뿐 아니라 이들이 추후 기지를 지하화해 달라거나 다른 곳으로 이전해 달라는 민원을 제기할 게 뻔하다”고 지적했다. 7만 가구 규모로 3기 신도시 중 가장 규모가 큰 광명시흥지구의 성공을 위해서라도 기지 이전을 중단해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박 시장은 광명시흥지구 성공을 위해 “2년간의 지구계획 수립 기간 동안 자족용지 비중을 전체 면적의 20% 이상으로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광명시는 최근 신도시 정책에 시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미래도시 시민계획단’을 발족했다. 광명동과 철산동 일대의 뉴타운 사업에 대해선 “구도심은 주민 주도의 공공재개발과 소규모 정비사업을 중심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재건축 초기 사업 추진이 어려운 주민을 위해 안전진단 비용 지원액을 늘리겠다”고 했다.광명시와 시흥시가 함께 추진 중인 테크노밸리 사업과 신도시 조성이 완료되면 광명은 50만 명이 거주하는 대도시이자 베드타운을 넘어선 자족도시로 거듭날 전망이다. 박 시장은 “광명시를 직(職), 주(住), 락(樂)을 겸비한 도시, 주민들이 자치에 적극 참여하고 상상을 펼쳐가는 명품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광명=김대훈 기자
박승원 광명시장은 25년 풀뿌리 정치 현장 누벼…시의원·도의원 거쳐 시장 당선
박승원 광명시장은 청년·지역시민사회운동가 출신의 정치인이다.한양대 국문과 85학번인 그는 실천문학 학회지 ‘홰’ 창간 멤버로 참여했고, 언더서클인 극예술연구회 활동을 하며 학생운동과 사회변혁운동에 발을 담갔다. 교사나 연극배우가 되고 싶었지만 늘 뒷전이었다.1987년 6월 이후의 격변기에 그는 (서울)동부지역 총학생회연합 도시빈민연대사업국장을 맡았다. 오랜 주거지가 아파트로 재개발되던 서울 사당동, 전농동, 신당동 등에서 철거민 투쟁을 했다. 마을에 용역이 들이닥칠 조짐이 보이면 각 대학 총학생회에 연락해 도움을 요청하는 게 그의 일이었다. 중장비에 가족이 흩어지고, 마을 공동체가 무너졌지만 철거민을 보호하는 어떤 법적 장치도 없던 시절이었다. 그는 “지역운동에 대한 갈증과 고민이 더욱 커진 시기였다”고 회고했다.
대학을 10년 만에 졸업한 그는 당시 들불처럼 일어나던 지역운동, 시민운동을 자신의 새 진지전으로 삼았다. 한 선배의 권유로 1997년 경기 광명시에 자리를 잡았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YMCA, 푸른광명21 등에서 활동하다 광명시 평생학습센터(현 광명시평생학습원)를 세워 사무국장으로 일했다. 이후 백재현 전 광명시장(18~20대 국회의원) 비서실장, 광명시의원과 경기도의원을 거쳐 광명시장(민선 7·8기)에 당선됐다. 25년간 광명에서 생활한 그는 생활정치, 지방자치 분야에서 이론과 현장 경험을 겸비한 행정가로 꼽힌다. 박 시장은 “지역 주민의 삶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정책이 최고의 자치정책”이라며 “진정한 지방자치 시대, 지방분권 시대를 열기 위해선 기초지자체에 자치3권(조직·입법·재정권)이 폭넓게 주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 박승원 광명시장△1965년 충남 예산 출생
△덕산고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백재현 광명시장 비서실장
△광명시 평생학습원 사무국장
△광명시의원, 경기도의원
△전국평생학습도시협의회 회장
△더불어민주당 전국기초자치단체장협의회 사무총장
△민선 7·8기 광명시장
광명=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