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특화단지 반드시 유치"…구미·경북 산업계 필사적 노력
입력
수정
지면B3
소재·부품 후방산업단지 필수올 상반기에 예정된 반도체특화단지 지정을 앞두고 경상북도와 구미의 산업계, 경북 정·관계가 최종 지정을 위해 필사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구미 국가산단 1~5단지에
특화단지 기반 시설 이미 구축
340여 중견·협력기업들
초격차 기술 개발 지원해야
구미시는 지난 27일 첨단전략산업 및 전략기술의 혁신적 발전과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국가 첨단전략산업(반도체) 특화단지 공모에 신청서를 제출했다.경북 산업계는 “미·중 패권전쟁으로 촉발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급변 사태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칩메이커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 수준인 소재부품 기업도 초격차 기술 경쟁력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며 “후방산업단지의 필요성을 역설해온 산업계의 염원을 정부가 외면하자 말아달라”고 강조했다.
김창혁 경북도의회 의원은 “정부가 수도권 중심의 반도체 산업 생태계 구축을 강화하면서 지역 기업의 수도권 이탈, 해외 이전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경북 전체 수출액의 50% 이상을 담당하는 구미에 반도체산업 특화단지 지정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구미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구미 지역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기초 지자체 중 수출 1위였으나 2010년 아산에 1위 자리를 내줬고, 2022년 상반기 기준 7위(120억5300만달러)까지 하락했다. 경상북도와 구미시는 구미경제 회생과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을 위해 지난해 8월부터 산·학·연 협력 기반의 ‘산업정책협의체’를 발족하고 반도체 실무협의회(TF)와 ‘경북 반도체산업 초격차육성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산업계가 필사적으로 대응해 왔다.경상북도와 구미시가 특화단지 지정에 사활을 거는 이유는 그동안 구미 지역에 축적된 8개 중견기업과 336개 협력기업의 기술 기반을 지키고 이를 초격차 기술로 끌어올려야 한다는 절박감 때문이다.
최혁준 경상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은 “국가 첨단 전략산업을 지키기 위해서는 메모리, 비메모리, 시스템 반도체 패키지용 첨단 소재 부품 등 확장성이 큰 구미를 수도권과 함께 가져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구미 국가산단은 특화단지 조성에 필요한 기반 시설 구축이 완료돼 있다”며 “공급 여력이 77%인 공업용수, 안정적인 전력 공급(구미 963만㎿h), 대구경북신공항에서 10㎞ 거리인 교통, 폐수처리, 가스 공급, 통신뿐만 아니라 국가산단 5단지 2단계(85만 평)를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등 최고의 여건과 준비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미에는 SK실트론(12인치 웨이퍼 세계 3위), LG이노텍(통신용 반도체 기판 세계 1위), 원익큐엔씨(반도체용 쿼츠웨어 세계 1위), KEC(소신호트랜지스터 세계 2위, 전력반도체 생산), 매그나칩(디스플레이 구동칩), LB루셈(패키지 세계 3위), 삼성SDI(반도체용 웨이퍼평탄화공정) 등 글로벌 선도기업들이 초격차 기술 유지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특화단지 지정을 고대하고 있다.쿼츠웨어 기술에 도전해 5년 전 일본을 제치고 세계 1위가 된 원익큐엔씨는 2000억원대 매출 기업이 지난해 7777억원, 올해 1조원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백홍주 원익큐엔씨 대표는 “그동안 구미의 산업계가 각 분야에서 다져온 반도체 소재 부품 기술의 기반 위에서 초격차 기술이 탄생할 수 있다”며 “반도체 산업 전체 경쟁력에도 중요한 문제”라고 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구미는 전력반도체와 전방산업용 FPGA 반도체 분야에서 자립적인 산업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진 지역”이라며 “수도권과 지방이 함께 새로운 무역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부가 역사적인 선택을 해주길 고대한다”고 강조했다.
구미=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