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잡 쓴 손님들이 왔다갔다…한국 마트인 줄 알았어요" [이미경의 인사이트]
입력
수정
불닭볶음면·치킨 판매대 앞 서성이는 외국인
K문화 알리는 전진기지 된 롯데마트
"암 쏘 핫 난 너무 예뻐요. 암 쏘 쿨 난 너무 멋져." (원더걸스-'쏘핫')

롯데마트의 동남아시아 사업 가운데 비중이 큰 건 인도네시아다. 지난해 인도네시아 매출액은 1조804억원으로 롯데마트 동남아시아 사업 매출액의 73.4%를 차지했다. 현지 도매마트 시장 점유율도 46%로 1위다. 인구 50만명 규모의 중대형도시에는 90% 이상 출점한 상태다.
롯데마트 도매점이 현지에서 자리를 잘 잡았다는 시장 상황을 고려해 롯데마트는 소매점포를 늘려가며 도·소매 점포의 시너지 효과를 노리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화산 섬이 많다는 지형학적 조건과 현지 인프라 사정으로 중간유통업자가 도매점포에서 물건을 구매한 뒤 소매점포로 전달하는 유통구조가 현지에서 발달했다는 점을 반영했다.
롯데마트 소매점 해외점포 출점 전략은 현지화다. 인도네시아 소매점포를 'K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곳으로 꾸민 것도 일종의 현지화 전략에 속한다. 한국 문화에 대한 현지 방문객들의 관심이 높다는 점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K문화'의 핵심에는 'K푸드'가 있다. 롯데마트는 지난해 10월 인도네시아 점포에서 판매할 한식을 개발·연구하는 푸드이노베이션랩(FIL)을 출범했다. FIL을 통해 인도네시아 셰프를 대상으로 한식 교육을 진행했다. 이후 델리코너의 K푸드를 강화하자 간다리아시티점의 전체 매출액은 50% 불어났다.현지화 전략의 또 다른 축은 '자체브랜드(PB)' 상품 강화다. 롯데마트 베트남 법인은 2016년부터 PB상품을 개발해왔다. 현재 판매하고 있는 PB 제품 상품품목수(SKU)는 1000개에 달한다. 베트남 진출 초기(2010년)엔 전체 매출의 1%에 불과했던 PB 상품 매출 비중이 지난해에는 15%까지 올라왔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현지에 별도의 법인을 설립하는 방식으로 직진출했기 때문에 현지 시장 분위기를 빠르게 파악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었다"며 "동남아시아에서 빠르게 점포 수를 늘려갈 수 있었던 것도 현지화 전략 덕분"이라고 말했다.
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