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빵 기술에 캐나다인도 놀랐다…허진수 SPC 사장의 '승부수'
입력
수정
"한국 베이글 어때요?"
캐나다 대사관 초청한 허진수 SPC 사장

SPC는 30일 서울 서초구 파리바게뜨 강남서초점에 타마라 모휘니 주한캐나다대사관 대사대리, 딘 디아스 캐나다 곡물협회 회장 등 주한캐나다대사관 관계자들을 초청해 베이글 체험방문 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캐나다의 몬트리올은 미국 뉴욕과 함께 베이글이 유명한 양대 도시로 꼽힌다. 허영인 SPC 회장은 몇 년 전부터 베이글이 식사빵으로 부상할 것이라 판단해 "뉴욕과 몬트리올 베이글의 장점만 뽑은 최적의 베이글을 만들라"고 지시했다.
파리바게뜨는 허 사장 주도로 2021년부터 1년 넘게 베이글을 개발해왔다. 그 결과물로 올해 2월 부드러운 몬트리올식 베이글과 밀도가 높은 뉴욕식 베이글의 장점을 합친 쫀득한 식감의 한국식 베이글이 출시돼 한 달 만에 200만개 이상 판매되기도 했다. SPC 핵심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의 글로벌 사업과 경영전략총괄임원을 겸하고 있는 허 사장은 2012년부터 중앙연구소인 이노베이션랩을 총괄하면서 신제품 개발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2009년 미국 제빵학교인 AIB(American Institute of Baking)에 유학을 다녀왔을 정도로 빵에 대한 애착이 강하다는 게 내부 전언이다.
허 사장은 "맛과 품질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투자를 통해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하는 브랜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파리바게뜨는 지난 22일 캐나다 1호점을 토론토에 개점했다. 미국 매장 120개에 이어 캐나다에도 진출한 파리바게뜨는 2030년 북미에서 매장 1000개를 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