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기자 코너] 물가 상승률 100% 넘는 아르헨티나의 경제 상황
입력
수정
지면S21
아르헨티나는 자원 수출로 벌어들인 돈을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투자에 쓰기보다 복지 예산으로 지출했다. 그 때문에 경제 구조가 취약해졌고, 대외 부채는 쌓여갔다.지구 반대편에 있는 나라 아르헨티나가 한국에서 주목받는 일은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는 축구다. 아르헨티나는 세계적인 축구 강국이다. 지난해 카타르 월드컵에서 우승했다. 아르헨티나를 36년 만에 세계 정상으로 이끈 리오넬 메시는 한국에서도 인기가 많다.
두 번째는 혼란스러운 경제 상황이다. 아르헨티나의 국토는 한국의 28배에 달한다. 국토가 남북으로 길어 다양한 기후에서 여러 가지 농작물을 생산한다. 인구도 4500만 명으로 적지 않다. 이런 조건을 바탕으로 아르헨티나는 20세기 초엔 경제 규모 세계 5위의 부국이었다.1900년대 중반 포퓰리즘 정권이 들어서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아르헨티나는 자원 수출로 벌어들인 돈을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투자에 쓰기보다 복지 예산으로 지출했다. 그 때문에 경제 구조가 취약해졌고, 대외 부채는 쌓여갔다.
한때 세계 각지에서 이민자가 몰려오는 나라였지만, 경제가 파탄나 여러 차례 국가부도 사태를 맞았다. 만연한 부정부패와 극심한 빈부격차가 아르헨티나 경제가 처한 현실이다. 최근 아르헨티나는 연간 물가 상승률이 100%를 넘는다. 1년 만에 물가가 두 배 넘게 뛰는 것이다.
이처럼 천연자원이 풍부한 나라가 오히려 경제적으로 낙후하고 국민 삶의 질이 낮아지는 현상을 ‘자원의 저주’라고 한다. 아무리 좋은 자연조건을 갖췄어도 산업 경쟁력을 높이지 않고 미래를 위해 투자하지 않으면 몰락하고 만다는 것이 아르헨티나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이다.
김하성 생글기자(해룡고 3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