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인플레이션 진정되면 초저금리 시절로 돌아간다"
입력
수정
인플레이션이 진정되면 미국의 금리가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전 초저금리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와 눈길을 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이같은 전망을 내놨다고 블룸버그통신 등이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IMF는 이날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최근의 금리 인상은 대체로 일시적인 것으로 분석된다”며 “인플레이션이 다시 통제되기 시작하면 선진국 중앙은행은 완화적 통화정책을 사용, 금리 수준을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되돌릴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IMF는 미국의 중립금리(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는 금리 수준)가 0.5~0.7%대(실질금리 기준)를 장기간 유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2020년대 중립금리가 1.5~2.0%대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래리 서머스 미국 하버드대 명예교수 등과 다른 의견이다. 서머스 교수는 공공 지출이 확대 추세에 있는 만큼 채권 공급량이 늘어 금리가 상승(채권 가격은 하락)할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반면 IMF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고령화와 그에 따른 생산성 악화로 금리가 떨어질 것으로 봤다.
기대 수명이 늘어나면 소비는 줄고 저축은 늘어나기 때문에 금리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는 것. 여기에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은 자본의 생산성을 떨어트려 중기적으로 금리를 떨어트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IMF는 또, 금리가 낮아지면 팬데믹 과정에서 늘어난 공공 부채 상환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초저금리 상황이 이어질 경우 중앙은행의 정책 수단이 제약되는게 부담요소다. 경기가 위축되면 금리를 낮춰 이를 부양해야 하는데 중립금리가 낮아진 상황에서 인하 폭이 제한된 상황에서 경기 부양 카드가 제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IMF는 “금리의 실효 하한(일정 수준 이하로 금리를 낮추면 통화정책 효과가 저하되거나 자본 유출 등 부작용이 생기는 것) 문제가 다시 중요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이같은 전망을 내놨다고 블룸버그통신 등이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IMF는 이날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최근의 금리 인상은 대체로 일시적인 것으로 분석된다”며 “인플레이션이 다시 통제되기 시작하면 선진국 중앙은행은 완화적 통화정책을 사용, 금리 수준을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되돌릴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IMF는 미국의 중립금리(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는 금리 수준)가 0.5~0.7%대(실질금리 기준)를 장기간 유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2020년대 중립금리가 1.5~2.0%대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래리 서머스 미국 하버드대 명예교수 등과 다른 의견이다. 서머스 교수는 공공 지출이 확대 추세에 있는 만큼 채권 공급량이 늘어 금리가 상승(채권 가격은 하락)할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반면 IMF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고령화와 그에 따른 생산성 악화로 금리가 떨어질 것으로 봤다.
기대 수명이 늘어나면 소비는 줄고 저축은 늘어나기 때문에 금리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는 것. 여기에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은 자본의 생산성을 떨어트려 중기적으로 금리를 떨어트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IMF는 또, 금리가 낮아지면 팬데믹 과정에서 늘어난 공공 부채 상환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초저금리 상황이 이어질 경우 중앙은행의 정책 수단이 제약되는게 부담요소다. 경기가 위축되면 금리를 낮춰 이를 부양해야 하는데 중립금리가 낮아진 상황에서 인하 폭이 제한된 상황에서 경기 부양 카드가 제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IMF는 “금리의 실효 하한(일정 수준 이하로 금리를 낮추면 통화정책 효과가 저하되거나 자본 유출 등 부작용이 생기는 것) 문제가 다시 중요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