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SaaS 기업 1만개 육성"
입력
수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민간 기업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초거대 인공지능(AI) 협력 생태계를 구축해 법률·상담 등 각 분야 AI 응용 서비스를 고도화함과 동시에 오는 2026년까지 AI 생태계 핵심인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 1만개를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14일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연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과기정통부는 초거대 AI 활용이 산업 경쟁력을 좌우할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고 보고, 전문(도메인) 분야 AI에서 세계 1위, 한국어 사용 초거대 AI 플랫폼 세계 1위를 목표로 비영어권 중심 세계 시장 공략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우선 AI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데이터, 소프트웨어, 컴퓨팅 자원을 주축으로 한 핵심 인프라 확충에 나서고 GPT 시리즈 등 해외 생성형 AI에 맞서 전문 분야에서 AI 경쟁력을 확보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시작하는 'AI 5대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통해 법률 의견서나 진료 소견서 작성 지원, 학술 연구에 참고문헌·통계 등 제시,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등 분야에서 응용 AI 서비스를 육성한다.단순·반복 작업 중심이었던 데이터 라벨링(이름 붙이기) 중심의 AI 학습용 데이터 정책을 초거대 AI 학습용 핵심 데이터 구축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책 15만권 분량에 달하는 양질의 대규모 텍스트 200종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AI 산업 발전의 핵심인 고품질 데이터를 획득-품질관리-활용-재생산하는 데이터 경제 생태계를 목표로 교통, 안전, 에너지, 도시 등 4대 중점 분야가 연결되는 디지털 트윈을 구축한다. 이후 단계적으로 의료, 환경, 행정 등 전 분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국민과 기업 수요는 높았지만 공개하지 않았던 사업자 등록번호, 자동차 등록정보 등 핵심 데이터도 국민이 원하는 방식으로 개방하기로 했다.최신 정보를 반영하지 못하고 거짓 답변도 곧잘 내놓는 초거대 생성 AI의 한계 돌파를 위해 학습 능력을 높이고 신뢰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AI 기초 연구를 추진한다.
올 초 시동을 건 신경망처리장치(NPU) 팜 실증 사업과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통해 데이터처리 가속기 등의 컴퓨팅 인프라도 강화할 계획이다.
AI 전문인력을 늘리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7년까지 AI 대학원 등에서 석박사 등 정규과정 인재 6만5000명을 양성하고, 일반 국민 100만명을 대상으로 초거대 AI 활용 방법을 안내한다.한편 이날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정부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국세는 홈택스, 지방세 위택스, 복지신청은 복지로 등 각각의 공식 사이트를 외우고 찾아다닐 필요 없이 한 곳에서 하나의 ID로 모든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범정부 통합서비스 창구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분산돼 있는 1500여종의 서비스를 이 창구에서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통합한다.
정부 지원 서비스들을 AI가 개인상황에 맞춰 알려주는 국민 맞춤형 '혜택 알리미'도 2026년까지 구현한다. 중앙부처가 제공하는 1021종의 수혜성 서비스가 대상이다.
정부 기관별로 따로 발급받아야 했던 서류들도 개인이 동의하면 한번에 받을 수 있도록 개편한다. 또 보도자료와 민원서식 등 정부 문서를 생성 단계부터 AI가 읽을 수 있는 방식으로 저장해 공개하고, 챗GPT 등 민간의 초거대 AI 인프라에 내부행정시스템 생성문서, 보도자료를 학습시켜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내년에는 민간과 공공의 데이터, 서비스를 안전하게 융합할 수 있는 최상위 통합플랫폼 'DPG허브'를 구축키로 했다. 허브는 데이터 융합 인프라와 초거대 AI 활용 인프라, 혁신 테스트베드를 제공하게 된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과기정통부는 14일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연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과기정통부는 초거대 AI 활용이 산업 경쟁력을 좌우할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고 보고, 전문(도메인) 분야 AI에서 세계 1위, 한국어 사용 초거대 AI 플랫폼 세계 1위를 목표로 비영어권 중심 세계 시장 공략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우선 AI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데이터, 소프트웨어, 컴퓨팅 자원을 주축으로 한 핵심 인프라 확충에 나서고 GPT 시리즈 등 해외 생성형 AI에 맞서 전문 분야에서 AI 경쟁력을 확보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시작하는 'AI 5대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통해 법률 의견서나 진료 소견서 작성 지원, 학술 연구에 참고문헌·통계 등 제시,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등 분야에서 응용 AI 서비스를 육성한다.단순·반복 작업 중심이었던 데이터 라벨링(이름 붙이기) 중심의 AI 학습용 데이터 정책을 초거대 AI 학습용 핵심 데이터 구축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책 15만권 분량에 달하는 양질의 대규모 텍스트 200종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AI 산업 발전의 핵심인 고품질 데이터를 획득-품질관리-활용-재생산하는 데이터 경제 생태계를 목표로 교통, 안전, 에너지, 도시 등 4대 중점 분야가 연결되는 디지털 트윈을 구축한다. 이후 단계적으로 의료, 환경, 행정 등 전 분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국민과 기업 수요는 높았지만 공개하지 않았던 사업자 등록번호, 자동차 등록정보 등 핵심 데이터도 국민이 원하는 방식으로 개방하기로 했다.최신 정보를 반영하지 못하고 거짓 답변도 곧잘 내놓는 초거대 생성 AI의 한계 돌파를 위해 학습 능력을 높이고 신뢰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AI 기초 연구를 추진한다.
올 초 시동을 건 신경망처리장치(NPU) 팜 실증 사업과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통해 데이터처리 가속기 등의 컴퓨팅 인프라도 강화할 계획이다.
AI 전문인력을 늘리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7년까지 AI 대학원 등에서 석박사 등 정규과정 인재 6만5000명을 양성하고, 일반 국민 100만명을 대상으로 초거대 AI 활용 방법을 안내한다.한편 이날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정부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국세는 홈택스, 지방세 위택스, 복지신청은 복지로 등 각각의 공식 사이트를 외우고 찾아다닐 필요 없이 한 곳에서 하나의 ID로 모든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범정부 통합서비스 창구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분산돼 있는 1500여종의 서비스를 이 창구에서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통합한다.
정부 지원 서비스들을 AI가 개인상황에 맞춰 알려주는 국민 맞춤형 '혜택 알리미'도 2026년까지 구현한다. 중앙부처가 제공하는 1021종의 수혜성 서비스가 대상이다.
정부 기관별로 따로 발급받아야 했던 서류들도 개인이 동의하면 한번에 받을 수 있도록 개편한다. 또 보도자료와 민원서식 등 정부 문서를 생성 단계부터 AI가 읽을 수 있는 방식으로 저장해 공개하고, 챗GPT 등 민간의 초거대 AI 인프라에 내부행정시스템 생성문서, 보도자료를 학습시켜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내년에는 민간과 공공의 데이터, 서비스를 안전하게 융합할 수 있는 최상위 통합플랫폼 'DPG허브'를 구축키로 했다. 허브는 데이터 융합 인프라와 초거대 AI 활용 인프라, 혁신 테스트베드를 제공하게 된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