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지급보증 담보자산 상향검토…디지털속도 대비 차원"
입력
수정
14일(현지시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에서 드러난 초고속 뱅크런(대량 예금 인출)을 두고 "지금의 디지털 속도로 볼 때 (은행의) 담보수준이 적절한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 20개국(G20) 중앙은행 총재 회의,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그룹(WBG) 춘계 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이 총재는 이날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이렇게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은행 결제망에 들어오는 기관은 지급 보증을 위한 담보자산이 있는데 결제하는 양이 확 늘면 거기에 맞춰 담보도 늘려야 한다"고 덧붙였다.그는 뱅크런 등을 대비해 지급 보증을 위한 은행의 담보 자산을 높이겠다는 얘기냐는 질문에 "높여야 하는지 한 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면서 "안전장치에 관한 이야기"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SVB 같은 사태가 우리나라에 일어난다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훨씬 안전하다"면서도 "그런 사태가 일어날 때를 대비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게 디지털 하나만 보는 것이 아니고 자본하고 건전성이 유지되느냐의 문제"라면서 "(사람들이 돈을) 빨리 옮기려고 핸드폰으로 하는데 못 돌려주고 기다리면 그사이 불안이 커질 수도 있기 때문에 어떤 제도를 바꿔야 하는지 출장 기간 중 많은 논의가 있었다"고 소개했다.그러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감독 체제를 만들었는데 디지털 뱅킹으로 인해 그 유효성이 현저하게 떨어졌다"면서 "시간을 갖고 (문제를) 정리할 시간을 소셜미디어 등에서 주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물가상승(인플레이션) 문제와 관련해선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 등과 논의한 결과를 말씀드리면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은 빠른 속도로 떨어지는 것 같고 그동안은 금리 인상을 빨리하는 기조에서 지금은 어느 정도 오래 높은 금리를 가져가야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가느냐에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나라별 차이가 있는데 한국, 캐나다, 호주 등 많은 나라들은 금리 인상을 동결하고 앞으로 물가 추이를 보는 쪽으로 움직이고 있다"면서 "미국과 유럽은 금융 상황이 확실하게 정리가 되면 한두 차례 정도 금리를 올릴 소지가 큰 것으로 평가한다"고 했다.그는 "SVB 사태를 하나의 예로, 물가 안정과 함께 금융안정도 고려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주요국에) 많이 형성된 것 같다"면서 "미국도 SVB 사태에 따른 상황이 많이 개선됐지만 사태가 완전히 종결됐다고 보는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국의 기준 금리 문제에 대해서는 "물가 경로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면서 "금통위원 대부분은 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열어두고 물가 경로를 보고 판단한 다음에 움직이자는 것이어서 지금 한 번 올리냐 아니면 내리느냐를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부동산 문제를 두고선 "올해 초부터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속도가 둔화해 작년 말보다는 걱정이 좀 덜한 편"이라면서 "연착륙 가능성이 커졌으며 경착륙이 안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주요 20개국(G20) 중앙은행 총재 회의,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그룹(WBG) 춘계 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이 총재는 이날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이렇게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은행 결제망에 들어오는 기관은 지급 보증을 위한 담보자산이 있는데 결제하는 양이 확 늘면 거기에 맞춰 담보도 늘려야 한다"고 덧붙였다.그는 뱅크런 등을 대비해 지급 보증을 위한 은행의 담보 자산을 높이겠다는 얘기냐는 질문에 "높여야 하는지 한 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면서 "안전장치에 관한 이야기"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SVB 같은 사태가 우리나라에 일어난다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훨씬 안전하다"면서도 "그런 사태가 일어날 때를 대비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게 디지털 하나만 보는 것이 아니고 자본하고 건전성이 유지되느냐의 문제"라면서 "(사람들이 돈을) 빨리 옮기려고 핸드폰으로 하는데 못 돌려주고 기다리면 그사이 불안이 커질 수도 있기 때문에 어떤 제도를 바꿔야 하는지 출장 기간 중 많은 논의가 있었다"고 소개했다.그러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감독 체제를 만들었는데 디지털 뱅킹으로 인해 그 유효성이 현저하게 떨어졌다"면서 "시간을 갖고 (문제를) 정리할 시간을 소셜미디어 등에서 주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물가상승(인플레이션) 문제와 관련해선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 등과 논의한 결과를 말씀드리면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은 빠른 속도로 떨어지는 것 같고 그동안은 금리 인상을 빨리하는 기조에서 지금은 어느 정도 오래 높은 금리를 가져가야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가느냐에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나라별 차이가 있는데 한국, 캐나다, 호주 등 많은 나라들은 금리 인상을 동결하고 앞으로 물가 추이를 보는 쪽으로 움직이고 있다"면서 "미국과 유럽은 금융 상황이 확실하게 정리가 되면 한두 차례 정도 금리를 올릴 소지가 큰 것으로 평가한다"고 했다.그는 "SVB 사태를 하나의 예로, 물가 안정과 함께 금융안정도 고려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주요국에) 많이 형성된 것 같다"면서 "미국도 SVB 사태에 따른 상황이 많이 개선됐지만 사태가 완전히 종결됐다고 보는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국의 기준 금리 문제에 대해서는 "물가 경로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면서 "금통위원 대부분은 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열어두고 물가 경로를 보고 판단한 다음에 움직이자는 것이어서 지금 한 번 올리냐 아니면 내리느냐를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부동산 문제를 두고선 "올해 초부터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속도가 둔화해 작년 말보다는 걱정이 좀 덜한 편"이라면서 "연착륙 가능성이 커졌으며 경착륙이 안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