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에 담긴 재미난 얘기, 여러분과 나누고 싶어요

[arte] 이자람의 소리
저는 소리꾼 이자람입니다.

동시에 록 음악을 하는 아마도이자람밴드의 싱어송라이터입니다. 아, 또한 뮤지컬 배우입니다. 더불어 연극 무대에서 배우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자주, 국립창극단 공연의 작곡과 음악감독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정말 많은 직업을 가진 참 운이 좋은 사람입니다
제발 여기까지 읽으시고 ‘하 진짜 욕심 많네, 내 스타일 아님.’ 하고 저를 만나는 것을 포기하지 말아주세요.

이 모든 것을 즐겁게 할 수 있는 이유는, 제가 판소리를 통해 오랜시간 학습하고 발견하는 좋은 것들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차근 차근 여러분과 나누어 보고싶습니다.

이 칼럼이 제가 판소리를 연습하고, 공연하고, 창작해 온 34년간의 시간들을 중심으로 여러분과 판소리를 비롯한 여러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재미난 장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용기를 내었습니다.
소리꾼 이자람. 두산아트센터 제공
저는 초등학교 4학년 때 우연히 판소리 스승님을 만나게 돼 판소리를 시작했습니다.

그때는 88올림픽을 치른 후 한국이 여느 때보다 떠들썩하던 시절이자, 모두가 텔레비전을 통해 동일한 드라마와 대중가요를 향유하며 대중문화가 꽃 피기 시작한 시절이었지요.

한국이 바야흐로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고 그로 인해 대중·공연 문화 등 전반적인 문화가 다방면으로 확장되고 실험을 시작하던 그때, 꼬마 이자람은 판소리를 만나 한국의 전통음악을 교육받기 시작한 것입니다.세상은 빠른 속도로 급변할 만반의 준비를 하는데 내가 배우는 것은 저 멀리 조선시대와 링크가 걸려있는 예술이었던, 참으로 양분되는 듯한 저의 삶은 그렇게 시작되었습니다.

그것은 눈앞에 피자와 콜라를 놓고 춘향가 가사를 외우는 일이었고, 교복을 입고 가야금을 든 채 강남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당산역에서 내려 버스를 타는 긴 하굣길에서 옆을 지나는 타인들에게 “쟤 기생학교 다니나 봐” 와 같은 말을 듣는 일이었습니다.

그 당시 한국의 전통예술은 이전의 ‘천민들이 하는 음악’이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천천히 ‘지켜야 할 고급예술’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고 있었으며, 그로 인해 사람들은 전통예술하는 아이들에게 ‘전통을 지키는 어려운 일을 하는 기특한 아이’와 ‘기생 음악 하는 아이’라는 두 가지 시선을 모두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시선은 점차 여러 훌륭한 예인들, 명인들에 의해 전통예술을 지키려는 국가의 제도적 보호와 지원으로 인해 현재와 같이 전통문화를 귀하게 여기는 인식의 전환을 이루어 왔습니다.
소리꾼 이자람. 두산아트센터 제공
학창 시절은 그리하여, 나 자신도 내가 겪고 있는 일들의 다양성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해 헷갈리는 와중에 대중들의 편견과 무지를 맞닥뜨리며 지낼 수밖에 없었습니다.

내가 배우고 있는 전통예술을 몹시도 창피하고 부끄러워했다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전공으로 학습하고 있는 이 멋진 판소리를 몹시도 사랑하게 되는 과정이, 제가 판소리를 배우고 성장하는 모든 과정 사이에 켜켜이 쌓여 있습니다.

그 모든 시간들을 지나오며 전통 판소리 다섯 바탕을 모두 사사하였고, 그 사이 서양의 희곡이나 소설, 한국의 극대 소설 등 제가 흥미를 갖고 이야기하고픈 욕망을 느끼는 서사들을 가지고 창작 판소리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창작 판소리로 한국, 미국, 프랑스, 브라질, 대만, 일본, 루마니아 등을 다니며 수많은 무대와 관객을 만나는 경험을 통해 제 판소리는 점차 그 가치와 매력, 멋과 맛을 명확하게 가져가기 시작했습니다.

무대에서 제 소리와 몸짓과 표정과 장단을 타고 관객에게 흘러갑니다. 판소리꾼으로 무대에 서는 순간 저는 능청스러운 이야기꾼이 되어 관객과 함께 거대한 상상력의 바다로 여행을 합니다.

우리는 함께 <노인과 바다> 속의 멕시코만 바다 위로 날아갔다가, <수궁가>의 바닷속으로 들어가 용왕과 물고기들을 구경했다가, <심청가>의 심 황후가 머무는 궁궐로 다니며 눈앞에 나타났다 사라지는 수많은 인물들을 응원하고 안쓰러워하고 우스워합니다.

그렇게 관객과 함께 뜨거운 시간을 만들고 공연이 끝나고 나면, 관객과 저는 어느새 오랜 지음과 같은 사이가 되어 서로의 삶을 응원하게 됩니다. 이렇게 정말 작게나마, 판소리를 처음 만나는 관객의 수를 늘려가며 느린 걸음으로 걸어가고 있습니다.

칼럼을 쓰는 이유 무대 위에서 다 하지 못한 이야기 조각들을 나누고 싶어…

추임새를 처음 듣는 당신에게, 추임새가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 주고 싶어서입니다.

중중모리/엇모리/진양 장단이 무엇인지 모르는 당신에게, 그러한 장단들 위에 우리의 언어가 올려져 얼마나 풍성한 이야기들이 한 폭의 그림을 그리듯 펼쳐질 수 있는지 이야기하고 싶어서입니다.
출처: GettyImagesbank
춘향가/심청가/수궁가와 같은 가깝고도 먼, 지겹고도 생경한 고전이 어째서 판소리라는 공연예술 장르를 통해 300여 년간 이어져 오고 있는지 그 비밀스러운 매력을 함께 탐험해 보고 싶어서입니다.

당신의 삶에 없어도 상관없을 것 같은 이 판소리를, 대체 어떤 사람들이 만들었고 어떤 노력을 기울여 기술을 습득하여 인간문화재까지 되었는지 등에 대한 제가 주워들은 재미난 이야기들을, 여러분과 과자처럼 나눠먹고 싶어서입니다.

위대한 문화재들로부터 저와 같은 평범한 열한 살짜리 꼬맹이가 어떻게 교육을 받으며 21세기-바야흐로 PC통신을 지나 인터넷의 확산, 휴대폰 속 넘쳐흐르는 정보와 이미지의 세상 속에서-를 가로질러 함께 이 사회에 속해 살아가는지 들려주고 싶어서입니다.앞으로 자유롭게 풀 이야기 보따리에 추임새 대신 애정 어린 관심을, 티켓 구매 대신 칼럼을 읽어주시는 5분의 여유를 부탁드립니다.

참, 반갑습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