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골' 경제 체력이 원화가치 끌어내려…"1350원 넘을 수도"

유독 힘 못쓰는 원화 왜?

수출 부진·무역 적자가 최대 요인
타 통화보다 하락폭·변동성 커
지정학적 리스크, 환율 새 변수로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시장 상황을 체크하고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장중 1330원을 넘어서며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장 막판 외환당국의 시장개입으로 추정되는 달러 매도 물량과 차익매물이 쏟아지며 전날보다 2원90전 내린 1322원80전에 거래를 마쳤다. 김범준 기자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원화 가치 하락) 현상이 심상찮은 것은 주요국 통화가 달러에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엔화 등에 비해 원화가 유독 더 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달러 약세가 곧 환율 하락(원화 가치 상승)으로 이어졌던 과거의 공식이 통하지 않는 상황이 된 것이다. 주력 산업인 반도체 한파와 수출 부진, 경상수지 적자, 내수 위축 등 한국 경제의 ‘체력 저하’가 핵심 요인으로 지목된다.

○달러 1.5% 하락할 때 원화 4% 넘게↓

올 들어 달러인덱스는 1.5% 하락했다. 달러인덱스는 유로, 엔, 영국 파운드, 캐나다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프랑 등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지수다. 달러인덱스가 하락했다는 건 달러가 주요국 통화 대비 약세를 보였다는 뜻이다.

하지만 달러 약세 속에서도 원화 가치는 하락했다. 원화 가치는 올 들어 20일까지 달러 대비 4.4% 하락했다. 주요국 통화는 달러 대비 상승했거나 하락폭이 원화보다 작았다. 유로와 파운드는 이 기간 통화가치가 각각 2.7%, 3.1% 상승했다. 스위스프랑은 2.8%, 캐나다달러는 0.6% 절상됐다. 엔화(-1.3%)와 뉴질랜드달러(-2.7%)는 통화가치가 하락했지만 원화에 비해선 하락폭이 작았다.

○수출 부진, 경상수지 적자

원화 약세가 두드러지는 건 무엇보다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이 약화하고 있기 때문이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우선 수출 부진으로 무역수지 적자가 이어지고 있다.무역수지는 지난 3월까지 13개월 연속 적자 행진 중이다. 4월에도 10일까지 적자를 냈다. 이에 따라 올 들어 이달 10일까지 무역수지는 258억61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연간 기준 역대 최대 적자를 낸 지난해(478억달러)의 절반을 넘었다.

대외 균형의 핵심 지표인 경상수지도 1, 2월 연속 적자였다. 경상수지가 2개월 연속 적자를 나타낸 건 2012년 1~2월 이후 11년 만이다. 유은혜 한국은행 조사역은 최근 한은 블로그에 올린 보고서에서 2월 원화 가치 절하율은 7.4%(1월 말 대비)로 34개국 중 가장 컸는데, 절하폭의 40%가 ‘무역수지 충격’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대규모 무역적자로 환율이 상승했다는 것이다.

성장률 저하도 원화 약세의 주요인으로 꼽힌다. 한은은 현재 공식적으론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6%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5월 경제전망에서 이를 낮출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최근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7%에서 1.5%로 낮췄다.한·미 금리 차도 원화 약세의 원인이다. 현재 한·미 금리 차는 1.5%포인트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5월 초 통화정책회의에서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 이 격차는 사상 최대인 1.75%포인트로 벌어진다. 그러나 시장에선 한은이 경기 하강 우려 때문에 더 이상 기준금리를 올리기 어려울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한국경제학회장을 지낸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은 “1%포인트 내외가 (외화 유출 등) 직간접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한·미 간 금리 차”라고 했다.

○환율 1350원 갈 수도

향후 원화 약세가 멈출지 여부도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 회복에 달려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2분기 이후 대중국 수출이 늘어나며 무역수지가 정상화되면 원화 가치도 회복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수출 부진이 해소되지 않으면 당분간 고환율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경기 회복세가 예상보다 약하고, 각종 지정학적 리스크가 증폭되면 원화 가치가 추가 하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1330원대를 다시 돌파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민경원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4월은 배당금 역송금으로 인한 단기적 달러 수요도 있다”며 “저항선 1320원이 뚫린 만큼 1350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