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100년 전 일로 日 무릎 꿇어야 한다는 생각, 못 받아들여"
입력
수정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 국빈 방문을 앞두고 진행된 미국 워싱턴포스트(WP)와 인터뷰에서 한일관계 회복과 협력을 더는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WP가 24일 공개한 인터뷰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100년 전 역사로 인해 일본이 사과하기 위해 무릎 꿇어야 한다는 인식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윤 대통령은 한국의 안보 불안 문제가 너무 긴급한 사안이기에 일본 정부와의 협력을 미룰 수 없었다면서 이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들은 절대 납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WP는 전했다.
WP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유럽은 지난 100년간 수차례 전쟁을 경험하고도 전쟁 당사국끼리 미래를 위해 협력할 방법을 찾았다"라며 "나는 100년 전에 일어난 일 때문에 절대 할 수 없는 일이 있다거나, 일본이 100년 전 역사 때문에 (용서를 위해) 무릎을 꿇어야 한다는 생각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당 사안에 대해 "결단이 필요했다"며 "설득하는 문제에 있어 나는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우크라이나 지원 문제에 대해서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는 불법 침공을 당한 상태이고 다양한 범위의 지원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 하면서도, "무엇을 지원하느냐 하는 문제에 있어선 우리는 우리나라와 전쟁 당사국 간 다양한 직·간접적인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WP는 보도했다.
앞서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 가능성을 내비친 것에 비해 신중한 입장 표명이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지난 19일 공개된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은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이나 국제사회에서 묵과할 수 없는 대량 학살, 전쟁법을 중대하게 위반하는 사안이 발생할 때는 인도 지원이나 재정 지원에 머물러 이것만을 고집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윤 대통령의 발언에 외신들은 한국 정부가 '살상 무기 지원 불가'라는 기존 정부 방침을 변경할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그간 미국 등 서방은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도록 요청해 왔으나 우리 정부는 교전 국가에 무기를 수출하지 않는 국내 정책 기조를 고수해 왔다.
이번 미국 국빈 방문에 대해서는 "양국 국민들이 두 나라의 동맹과 그간의 성과에 대한 역사적인 중요성을 올바로 인식하도록 하는 기회로 만드는 것"이라고 의의를 소개했다. 특히 한미 양국의 관계에 대해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동맹"이라며 "무엇보다도 가치에 기반을 둔 동맹"이라고 언급했다.
더불어 이번 미국 방문을 통해 한미 양국이 직면한 다양한 현안에 대해 논의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WP는 한미 관계에는 미국의 안보 보장에도 불구, 한국 내 커지는 핵 보유 요구에 더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한국 제조업체 관련 반도체 법의 파장과 같은 다른 마찰 요인들이 남아 있다고 봤다.
또한 윤 대통령에 대해서는 과거 검사 시절 국정원 선거 개입 수사를 하면서 외압에 맞서다 좌천되는 등 강골 검사의 모습으로 주목받아 대권까지 올랐다고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당시 상황에 대해 "정부 기관들이 조금이라도 선거에 개입했고 그로 인해 국민의 신뢰를 저해했다면 바로 잡아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전하면서 "그때 그 자리에 다시 돌아간다고 해도 나는 아마 똑같이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내 김건희 여사에 대해서는 "나의 가장 행복한 기억은 나의 아내를 만나 50대 늦은 나이에라도 결혼한 것"이라고 애정을 드러냈다.
또한 윤 대통령이 자신을 "오랫동안 미국의 헌법 시스템과 국제적인 영향력에 매료됐었고, 성장하면서 미국 음악과 TV 쇼를 즐겨왔다"고 소개하고, 윤 대통령의 집무실 책상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작년 5월 첫 정상회담 때 선물한, 해리 트루먼 전 미 대통령이 재임 시절 책상에 뒀던 것과 동일한 형태의 명패가 놓여있었다고 WP는 전했다. 해당 명패에는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는 뜻의 'The Buck Stops Here'라는 문구가 새겨 있다.
한편 윤 대통령 부부는 미국 방문을 위해 이날 오후 서울공항에서 전용기인 공군 1호기를 타고 미국 워싱턴 DC로 출국했다.우리 정상의 국빈 방미는 2011년 이명박 당시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다. 윤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과 미 의회 연설을 포함해 5박 7일간의 일정을 소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WP가 24일 공개한 인터뷰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100년 전 역사로 인해 일본이 사과하기 위해 무릎 꿇어야 한다는 인식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윤 대통령은 한국의 안보 불안 문제가 너무 긴급한 사안이기에 일본 정부와의 협력을 미룰 수 없었다면서 이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들은 절대 납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WP는 전했다.
WP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유럽은 지난 100년간 수차례 전쟁을 경험하고도 전쟁 당사국끼리 미래를 위해 협력할 방법을 찾았다"라며 "나는 100년 전에 일어난 일 때문에 절대 할 수 없는 일이 있다거나, 일본이 100년 전 역사 때문에 (용서를 위해) 무릎을 꿇어야 한다는 생각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당 사안에 대해 "결단이 필요했다"며 "설득하는 문제에 있어 나는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우크라이나 지원 문제에 대해서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는 불법 침공을 당한 상태이고 다양한 범위의 지원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 하면서도, "무엇을 지원하느냐 하는 문제에 있어선 우리는 우리나라와 전쟁 당사국 간 다양한 직·간접적인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WP는 보도했다.
앞서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 가능성을 내비친 것에 비해 신중한 입장 표명이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지난 19일 공개된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은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이나 국제사회에서 묵과할 수 없는 대량 학살, 전쟁법을 중대하게 위반하는 사안이 발생할 때는 인도 지원이나 재정 지원에 머물러 이것만을 고집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윤 대통령의 발언에 외신들은 한국 정부가 '살상 무기 지원 불가'라는 기존 정부 방침을 변경할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그간 미국 등 서방은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도록 요청해 왔으나 우리 정부는 교전 국가에 무기를 수출하지 않는 국내 정책 기조를 고수해 왔다.
이번 미국 국빈 방문에 대해서는 "양국 국민들이 두 나라의 동맹과 그간의 성과에 대한 역사적인 중요성을 올바로 인식하도록 하는 기회로 만드는 것"이라고 의의를 소개했다. 특히 한미 양국의 관계에 대해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동맹"이라며 "무엇보다도 가치에 기반을 둔 동맹"이라고 언급했다.
더불어 이번 미국 방문을 통해 한미 양국이 직면한 다양한 현안에 대해 논의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WP는 한미 관계에는 미국의 안보 보장에도 불구, 한국 내 커지는 핵 보유 요구에 더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한국 제조업체 관련 반도체 법의 파장과 같은 다른 마찰 요인들이 남아 있다고 봤다.
또한 윤 대통령에 대해서는 과거 검사 시절 국정원 선거 개입 수사를 하면서 외압에 맞서다 좌천되는 등 강골 검사의 모습으로 주목받아 대권까지 올랐다고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당시 상황에 대해 "정부 기관들이 조금이라도 선거에 개입했고 그로 인해 국민의 신뢰를 저해했다면 바로 잡아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전하면서 "그때 그 자리에 다시 돌아간다고 해도 나는 아마 똑같이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내 김건희 여사에 대해서는 "나의 가장 행복한 기억은 나의 아내를 만나 50대 늦은 나이에라도 결혼한 것"이라고 애정을 드러냈다.
또한 윤 대통령이 자신을 "오랫동안 미국의 헌법 시스템과 국제적인 영향력에 매료됐었고, 성장하면서 미국 음악과 TV 쇼를 즐겨왔다"고 소개하고, 윤 대통령의 집무실 책상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작년 5월 첫 정상회담 때 선물한, 해리 트루먼 전 미 대통령이 재임 시절 책상에 뒀던 것과 동일한 형태의 명패가 놓여있었다고 WP는 전했다. 해당 명패에는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는 뜻의 'The Buck Stops Here'라는 문구가 새겨 있다.
한편 윤 대통령 부부는 미국 방문을 위해 이날 오후 서울공항에서 전용기인 공군 1호기를 타고 미국 워싱턴 DC로 출국했다.우리 정상의 국빈 방미는 2011년 이명박 당시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다. 윤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과 미 의회 연설을 포함해 5박 7일간의 일정을 소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