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日 무릎" 발언에, 민주당 "무슨 권한으로 면죄부 주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운데)와 박홍근 원내대표를 비롯한 당 관계자들과 참석자들이 3월 25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대일 굴욕외교 규탄 범국민대회'에 참석해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100년 전에 일어난 일 때문에 일본이 무릎을 꿇고 용서를 구해야 한다는 생각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발언한 외신 인터뷰와 관련해 야권이 반발했다.

24일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국회에서 브리핑을 갖고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과거사에 대한 인식에 경악을 금할 수 없다"며 "대한민국의 주권과 국익을 지켜야 할 대통령의 입에서 나올 수 있는 말인지 충격적이다"고 말했다.윤 대통령은 5박 7일 미국 국빈 방문 일정에 앞서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와 인터뷰를 가졌다. 윤 대통령은 한일관계 회복과 협력을 더는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유럽은 지난 100년간 수차례 전쟁을 경험하고도 전쟁 당사국끼리 미래를 위해 협력할 방법을 찾았다"며 "나는 100년 전에 일어난 일 때문에 절대 할 수 없는 일이 있다거나, 일본이 100년 전 역사 때문에 (용서를 위해) 무릎을 꿇어야 한다는 생각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고 WP는 보도했다.
5박7일 간의 미국 국빈 방문길에 오르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4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해 인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강 대변인은 "윤 대통령은 어느 나라 대통령이기에 일본을 대변하고 있는가"라고 반문하며 "윤 대통령은 무슨 권한으로 일본의 침탈과 식민 지배에 면죄부를 주나. 우리나라가 용서하면 되는 문제를 여태 용서를 강요해 양국 관계가 악화했단 말인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국 관계 악화 원인을, 과거사에 반성 하지 않는 일본 대신 일본을 용서해 주지 못하는 우리나라로 돌리다니 기가 막히다"고 덧붙였다.또 "윤 대통령은 결단이 필요한 문제, 설득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말했는데 누구를 설득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단 말인가"라며 "일본에게 무릎 꿇을 필요가 없다고 설득했단 말인가, 아니면 우리 국민에게 일본에 면죄부를 줘야 한다고 설득했단 말인가"라고 전했다.

이어 "이럴 거면 지난 대선 당시 당당하게 일본을 용서하자고 말씀하시지 그랬냐"며 "역사를 잊은 대통령에게 뭘 기대하나. 윤 대통령에게 과연 대한민국의 주권과 국익을 맡겨도 되는지 대단히 의문스럽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위선희 정의당 대변인도 "국민을 폄훼하고 국격을 실추시킨 망언"이라며 "망상에 가까운 생각으로 우리 국민을 과거에만 얽매여 안보나 한일 협력엔 생각 없는 국민들로 매도했다"고 말했다.또 "한일 관계의 진정한 개선을 위해 사과할 건 분명히 사과하고 전범기업들이 피해 보상을 직접 해야 한다는 게 국민적 요구이자 상식"이라며 "윤 대통령은 역사와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생각을 하고 있다. 역사를 잊고, 국민마저 폄훼하는 윤석열 대통령이야말로 무릎 꿇고 국민께 용서를 구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윤 대통령의 발언이 담긴 기사 링크를 공유하며 별다른 말 없이 '......'라고 적었다.

이 대표는 이날 당 고위전략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발언"이라며 "당황스럽고 참담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십 년간 일본에 침략당해 고통받은 대한민국의 대통령으로서 결코 해서는 안 될 발언으로 생각되고 대통령의 역사의식이 과연 어떠한지 생각해보게 되는 발언"이라고 지적했다.이 대표 외에 전용기 의원, 정청래 최고위원, 백혜련 의원 등 민주당 소속 의원들도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전 의원은 "시작부터 대형사고를"이라고 평했고, 정 최고위원은 "톨레랑스의 나라 프랑스는 민족 반역자에게 공소시효는 없다며 끝까지 추적해 처벌했다"며 "과거를 청산해야 미래가 열린다. 역사를 잊은 자에게 뭘 기대하겠는가"라고 저격했다. 백 의원은 "일제 식민 지배는 헌정질서 파괴를 넘어 영토, 국민, 주권을 모두 앗아간 국가 파괴 행위"라며 "그런데 우리나라 대통령이 마치 뻔뻔한 가해자처럼 먼저 공소시효 폐지를 주장하고 나왔다"고 지적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