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새우등 터지는데…"지금이 기회" 신바람 난 中 회사

미중 갈등 반사이익 보는 中양쯔메모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 정부가 미국 최대 메모리 칩 제조업체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에 대한 제재에 착수하면서 양쯔메모리(YMTC) 등 중국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이 반사이익을 얻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양쯔메모리는 첨단 메모리 반도체 생산 국산화를 추진하는 한편 가격 경쟁을 통해서 자국 메모리칩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는 복안이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 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양쯔메모리에 기회 된 제재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현지 전문가를 인용해 중국 당국의 마이크론에 대한 사이버보안 검토가 양쯔메모리가 이끄는 중국 메모리칩 제조사에 새로인 기회의 장이 열리고 있다고 28일 보도했다. 중국에서 마이크론 제품의 판매가 금지될 경우 양쯔메모리·선전킹뱅크테크놀로지 등 중국 업체들이 그 공백을 메울 수 있다는 것이다. 첸지아 인민대 연구원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업체들은 미중 갈등이 심화될수록 중국내 사업에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며 “마이크론의 공백을 메우는 것은 점점 중국업체들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시장 상인들의 반응도 비슷했다. 상하이의 가장 큰 컴퓨터 쇼핑센터인 ‘퍼시픽 디지털 플라자’에서 일하는 리우 씨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구매할 때 삼성은 여전히 최고의 선택지”라며 “다만 양쯔메모리 제품이 좋은 대안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는 중국 업체들이 풍부한 물량을 기반으로 높은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중국 전자상거래 2위 업체 징둥닷컴에서 양쯔메모리의 2테라바이트 SSD는 509위안에 판매되고 있는데, 이는 삼성전자 SSD(1049위안)의 절반 가격이다.

○첨단 메모리 격차 좁히는 중국

중국 정부는 미국의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에 맞서 양쯔메모리 등 자국 반도체 업체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중국 국가반도체펀드 등 국영 투자자들이 올 들어 490억위안(약 9조4600억원)을 양쯔메모리에 투자하면서다. 이를 기반으로 양쯔메모리는 첨단 메모리 반도체 기술 자립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양쯔메모리는 중국 최대 반도체 장비 업체인 베이팡화촹 등과 함께 순수 중국산 기술로 미국의 통제 대상인 128단 낸드 생산 공정을 개발하는 ‘우당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게 대표적이다. SCMP의 최근 보도에서 양쯔메모리가 증착·식각 장비 중국 1위인 베이팡화촹 등에 대규모 발주를 했다고 전했는데, 128단 낸드 생산 장비를 발주했다는 게 반도체 업계의 분석이다.
빠른 속도로 한국과 미국의 메모리 반도체 업체와의 기술 격차를 좁히고 있는 양쯔메모리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현재 4% 수준까지 늘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작년 3분기 기준 낸드 점유율 순위는 삼성전자(31.4%), 키옥시아(20.6%), SK(18.5%), 웨스턴디지털(12.6%), 마이크론(12.3%), 기타 4.6% 순인데, 기타의 대부분이 양쯔메모리로 추정된다.

○복잡해진 삼성의 셈법

양쯔메모리가 자국 장비를 활용해 128단 이상 낸드를 생산하는 데 성공할 경우 미국의 고강도 제재가 무색해질 전망이다. 미국은 작년 10월 128단 이상 낸드, 14㎚(나노미터) 이하 시스템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장비 등을 중국에 수출할 수 없도록 하는 등 대중국 견제를 강화하고 있다. 또 미국은 작년 12월 양쯔메모리 등 중국 기업 36곳을 수출통제 명단에 올렸다. 반도체뿐 아니라 미국 기술이 들어간 모든 제품에 대해 미국 정부의 허가를 거쳐서 중국에 수출하도록 한 것이다. SCMP는 양쯔메모리의 첨단 메모리 반도체 국산화는 미국의 제재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이뤄진 '의미 있는 진전'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메모리 업황 악화로 반도체 부문에서만 올 1분기 4조6000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내는 등 위기를 겪고 있다.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이 새로운 활로가 될 전망이지만, 미중 갈등 격화에 따른 대외환경이 녹록치 않다.

최근 미국 정부는 대통령실에 한국 반도체 업체들에 마이크론 제재에 따른 중국 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급 공백을 메우지 말아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가 마이크론 공백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면 이는 중국 반도체 업체들에 새로운 기회의 장이라는 게 SCMP의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중국에서의 수익 비중이 2017년 16%에서 지난해 12%로 감소했다.

이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