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두현의 아침 시편] 의사 시인을 감동시킨 비누 두 장
입력
수정
지면S21
비누 두 장제왕절개 수술 때 산모에게는 진정제를 투여하지 않는다. 배 속의 태아를 위해 척추마취만 한다. 수술 도중 산모의 긴장과 불안은 극에 달한다. 의료진의 다급한 목소리와 수술기구들이 부딪히는 소리, 피부와 살을 찢는 소리를 무방비 상태로 들어야 한다. 산모에게는 한없이 두려운 순간이다.
김기준여리디 여린 당신의 허리춤에 긴 마취 침 놓고
두려움에 떨고 있는 당신의 눈을 보며
내가 할 수 있는 건 그저 손잡아주며
괜찮아요
괜찮아요
내가 옆에 있잖아요
그 순한 눈매에 맺혀 오는 투명한 이슬방울
산고의 순간은 이토록 무섭고 외로운데
난 그저 초록빛 수술복에 갇힌 마취의사일 뿐일까?
사각사각 살을 찢는 무정한 가위소리
꼭 잡은 우리 손에 힘 더 들어가고
괜찮아요
괜찮아요
내가 옆에 있잖아요
편히 감는 눈동자 속에 언뜻 스쳐 간 엄마의 모습
몇 달 후 찾아와서 부끄러운 듯 내어놓은
황토빛 비누 두 장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 아가 먹다 남은 초유로 만든 비누예요
그때 손잡아 주시던 때
알러지로 고생한다 하셨잖아요혼자 남은 연구실에서 한동안 말을 잊었네
기어코 통곡되어 눈물, 콧물 다 쏟았네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내가 더 고맙습니다
* 김기준 : 1963년 경남 김해 출생. 연세대 의대 졸업. 2016년 ‘월간 시’ 신인상.
시집 <착하고 아름다운> <사람과 사물에 대하여> 출간.
그날도 그랬다. 그는 마취 침을 놓고 난 뒤 불안해하는 산모의 손을 꼭 잡아줬다. “괜찮아요. 내가 옆에 있잖아요. 걱정하지 마세요. 숨을 천천히 들이쉬었다 내쉬었다 해보세요. 금방 괜찮아질 거예요.”수술 침대에 누운 산모가 그의 손을 꾸욱 잡았다. 그의 손에도 힘이 들어갔다. 어느 순간 손톱이 그의 손등을 파고들었다. 정신을 차린 산모가 “어머나! 선생님 손에 상처가…” 하며 당황했다. “아니에요. 얼마 전에 생긴 피부 알레르기 때문이에요.”
몇 달 뒤 퇴근 시간, 누군가 그의 연구실 문을 똑똑 두드렸다.
“혹시 저 기억나세요? 몇 개월 전 저 아기 낳을 때 마취하고 손잡아 주셨잖아요. 저 때문에 손에 상처가 났었는데.”“아! 그때….”
“그날 정말 무서워서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고, 선생님 손만 꼬옥 잡고 놓치지 않으면 모든 게 무사히 다 지나갈 것이다…. 그 마음뿐이었어요. 정말 고마웠습니다. 감사합니다.”
“무슨 말씀을… 제가 당연히 할 일을 했을 뿐인데 그것 때문에 이렇게 찾아와 주시니 오히려 제가 미안하고 고맙습니다.”
차 한잔의 시간이 지난 후 일어서던 그녀가 핸드백에서 뭔가를 꺼냈다.
“피부 알레르기에는 모유로 만든 비누가 최고래요. 이건 제 아이가 먹고 남은 초유로 만든 비누예요.”
황급히 문을 열고 나가는 그녀에게 제대로 인사도 하지 못한 채 그는 얼떨떨하게 서 있었다. 한참 후 포장을 열어보니 그 속엔 아기 손바닥만 한 황톳빛 비누 두 장이 들어 있었다. 그는 한동안 말을 잊었다. 얼마나 시간이 흘렀을까. 눈물이 두 볼을 타고 흘러내렸다. 끝내는 통곡이 되어 눈물 콧물 범벅이 됐다. 그날 그 자리에 앉은 채로 쓴 시가 ‘비누 두 장’이다.
그 눈물겨운 사건(?)은 오랫동안 접어두었던 시인의 꿈을 다시 꾸게 해줬다. 2016년 ‘월간 시’ 신인상으로 등단하고 시집 <착하고 아름다운> <사람과 사물에 대하여>를 내게 된 것도 그 덕분이었다.
육체적 고통을 다독이는 마취와 영혼을 어루만지는 정신의 치유를 병행하는 의사 시인 김기준. 그는 마음의 문을 똑똑 두드려 눈물을 흘릴 수 있게 해주고, 다시 시를 쓸 수 있게 해줬으며, 사람과 사람이 얼마나 따스한지 일깨워준 그때 그 순간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
그날 수술실에서 불안해하는 산모와 위로의 말을 건네는 의사를 부드럽게 이어준 것은 ‘손’과 ‘눈’이었다. 꼭 잡은 손에 힘이 들어갈수록 두 사람의 교감은 깊어졌고, ‘편히 감는 눈동자 속에 언뜻 스쳐 간 엄마의 모습’을 발견한 순간 온전한 평화와 안도가 찾아왔다.
시의 제목이기도 한 ‘비누 두 장’은 산모를 위로하던 의사를 거꾸로 위로하고 치유하는 아름다운 매개체다. 그래서 “괜찮아요”가 “고맙습니다”로 치환된다. 치유받은 사람의 마음이 치유하는 사람의 마음을 건드려서 다시 “고맙습니다”를 낳는 선순환의 착한 삶이 그 속에 녹아 있다. 이 시가 담긴 첫 시집의 제목이 <착하고 아름다운>인 것도 이런 맥락과 닿아 있다.
참, 그가 받은 비누의 효능은 어땠을까. 한 장을 써 본 결과 신기하게도 한 달 만에 손등의 피부염과 가려움증이 없어졌다고 한다. 그는 “나머지 한 장은 곱게 다시 포장해 나만 아는 깊숙한 곳에 평생의 보물로 간직하고 있다”며 “대대손손 가보로 물려줄 생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