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삼성전자인데…" 임원끼리 '갤럭시 와인' 선물한 속사정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입력
수정
삼성 엑시노스, '갤럭시 S24'엔 들어가나삼성전자엔 여러 사업부가 있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MX(모바일경험)사업부, D램 같은 메모리반도체를 개발·생산하는 메모리사업부 등이 대표적이다.
"엑시노스, 플래그십 폰에 재탑재 추진"
삼성전자, 실적 설명회에서 언급
엑시노스 성능 향상 평가
퀄컴 견제 전략이라는 분석
삼성전자 지붕 아래 있지만 각 사업부는 독립 회사처럼 움직인다. 사업부들은 다양한 거래 관계로 엮여 있다. 예컨대 MX사업부는 스마트폰용 반도체를 개발·판매하는 시스템LSI사업부의 주요 고객이다. 갑(甲)·을(乙)의 관계도 명확하다. 시스템LSI사업부 임원들이 MX사업부 임원들과 만날 때, 일부러 MX사업부의 대표 스마트폰인 '갤럭시'와 같은 브랜드의 와인을 사간 적도 있다고 한다.
갤럭시S24에 삼성 '엑시노스 2400'
관심사는 내년 출시 예정인 '갤럭시 S24'에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의 엑시노스 AP가 들어갈지 여부다. 최근 반도체업계에선 "S24엔 일부 물량이라도 탑재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S24에 퀄컴 스냅드래곤과 삼성 엑시노스를 동시에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는 것이다. 과거에도 삼성전자는 유럽 중남미 판매 모델은 엑시노스, 미국 중국 등엔 스냅드래곤을 쓰는 식으로 '공동 채택' 전략을 썼다.지난 27일 삼성전자가 개최한 1분기 실적 설명회(콘퍼런스콜)에서도 확인됐다. 시스템LSI사업부는 보도자료에 "차세대 플래그십 모바일 SoC(통합칩셋) 준비", "모바일 SoC는 제품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 플래그십 재진입을 추진한다"는 문구를 넣었다.애널리스트들과의 질의응답에서도 시스템LSI사업부 임원은 "MX 사업부는 시스템LSI의 주요 거래처(고객)로, 당사는 갤럭시 시리즈의 모든 세그먼트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사업 전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플래그십 재진입도 추진 중"이라고 강조했다. 차세대 플래그십 모바일은 '갤럭시 S24'를 뜻하고 모바일 SoC는 엑시노스 AP다. 갤럭시S24에 엑시노스를 다시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란 얘기다.
시스템LSI사업부는 갤럭시S23에 엑시노스 AP 탑재가 무산된 이후 '재진입'을 위해 칼을 갈았다고 한다. AP의 주요 기능인 그래픽처리프로세서(GPU)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미국 AMD와의 기술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최근엔 GPU 전문가들을 적극 채용 중이다. 해외의 반도체 성능 테스트 전문 사이트에선 '갤럭시 S24에 들어가게 될 '엑시노스 2400'(가칭)의 성능이 경쟁업체 칩보다 우수하다'는 내용이 올라오기도 한다. 엑시노스 2400의 성능이 많이 개선됐기 때문에 갤럭시S24에 탑재해도 문제가 될 것이 없다는 것이다.
퀄컴과 AP 공급 협상 유리하게 이끄려는 전략
전략적인 판단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갤럭시S24의 엑시노스 채택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는 보도자료 문구와 멘트엔 '다른 의도'가 숨어 있다는 평가다. 스냅드래곤 AP를 MX사업부에 납품하고 있는 미국 퀄컴에 보내는 메시지라는 것이다.삼성전자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MX사업부는 2022년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AP를 사기 위해 9조3138억원을 썼다. 전체 원재료 구매의 12.8%에 달하는 적지 않은 금액이다. 삼성전자는 "모바일 AP 가격은 전년 대비 약 77%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