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받기에 충분한 그 이름, 현대미술가 비쿠냐

[arte] 에르민 장의 위 아 컨템포러리스
많은 사람들이 캐시미어가 고급 원단이라는 것을 알지만, 비쿠냐라는 원단은 그것과 비교도 할 수 없는 럭셔리의 끝판왕 소재라는 것을 잘 모른다.

이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지역의 일부에 서식하는 비쿠냐라는 동물의 털로 만들어지는데, 먼 이국의 동물도 낯설지만, 이 소재는 잉카 제국 시절 황제와 황족의 특권이기까지 했었을 정도이고, 현재도 비쿠냐 소재의 옷을 만나보기란 소수의 최상급 브랜드에서가 아니면 어렵기 때문이다.현재는 나라에서 특별 관리를 할 정도로 한때 멸종 위기 종이었던 이 비쿠냐는 말 그대로 신의 섬유를 품었지만 여러 아픔을 겪은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 동물이다. 오늘은 이 비쿠냐와 이름이 같으며 그만큼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가진 예술가, 세실리아 비쿠냐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2022년은 비쿠냐에게 너무도 특별한 해였다. 4월 베니스 비엔날레의 황금사자상 수상을 시작으로, 5월에서 9월까지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회고전이 진행되었으며, 10월부터 시작하여 최근 4월에 막을 내린 런던 테이트 터빈홀의 현대차 커미션 전시까지, 전 세계 미술계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다.

그녀는 1948년 칠레 태생의 뉴욕에서 활동하는 설치 및 다양한 미디엄의 시각예술가이자, 활동가, 시인으로, 1973년 칠레의 군부가 정권을 잡게 되면서 런던에서 공부하던 그녀는 본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40년 넘게 뉴욕을 기반으로 평생을 환경, 원주민 문화, 독재 정권, 사랑과 전쟁 등의 주제에 대해 작업을 진행해왔다. 그녀가 오랜 작업 끝에 비로소 세계적 주목을 받게 된 이유가 무엇일까?
CeciliaVicuna_BendigameMamita_1977_(1)

첫 번째 이유로 그녀가 표현하는 사랑과 추억에 대한 경험과 감정이 인종과 문화가 다를지라도 관객들에게 보편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어쩌면 나의 경험과 맞닿아 있어 더욱 그러하겠다.우선 그녀를 어렴풋이 안건 현대미술의 교과서와 같은 뉴욕 모마(현대미술관)의 소장품 전시에서였다. 그때도 작품이 매우 인상적이어서 기억을 하지 않을 수는 없었으나, 그녀와 그녀의 작품에 대해 깊이 있게 찾아보게 된 계기는 2022년 베니스 비엔날레이다.

환희에 가득 찬 표정으로 59회 베니스 비엔날레 평생공로 황금사자상을 번쩍 들어 올리고 있는 세실리아 비쿠냐의 표정에 푹 빠져 방문한 그녀의 인스타그램에서, 자신의 엄마를 그린 그림 (1977) 앞에서 엄마를 포옹하고 있는 그녀를 보았다.

많은 일을 뒤로하고 꾸역꾸역 찾아간 베니스에서, 수많은 인파와 피곤에 의무적으로 빠르게 스쳐보았던 그 그림을 마지막 날 다시 찾았다. 그림 속 비쿠냐의 엄마는 마치 세상을 다 알아버린 듯, 그러나 지혜와 유머를 잃지 않는 듯 한눈이 기타 구멍을 관통하고 있었고, 엄마의 초상 뒤에는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가는 그녀의 인생 스토리가 담겨있었다.

그 앞에서 나도 그녀처럼 내 엄마의 삶을 되돌아봤다. 분명 그녀도 어린 시절 꿈을 꾸고, 사랑하고, 가정을 꾸리고, 나를 낳고, 여자로 아름다움을 가꾸고, 행복한 삶을 바랐을 것이다.

마지막 고통스러운 인생의 순간에도 유머와 지혜를 잃지 않고, 자식에 대한 사랑을 한가득 남기고 가신 엄마 생각에 눈물이 났다. 그림 속 엄마는 그렇게 모두의 엄마가 되어 관객에게 사랑과 추억을 떠올리게 하고 있었다.
CeciliaVicuna_BrainForestQuipu_2022_(1)

두 번째로 그녀의 작업은 잃어버린 또는 잃어가고 있는 자연환경과 토착문화의 보전에 대해 매우 섬세하고 부드럽게, 마치 엄마와 같이 포용하는 방식으로 관객에게 전달하고 있고, 이는 세계적 담론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또한 보다 넓은 관점에서 세대의 기억과 역사를 탐구하는 그녀의 작업을 통해 현대 사회의 현재와 미래를 전 지구적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그녀는 가공되니 않은 양모, 매듭, 자연에서 얻은 소재, 주은 물건들을 사용하여, 사라져버린 안데스 지역의 매듭을 이용한 언어인 퀴푸(Quipu)에서 영감을 받은 설치작업을 50년 이상 진행해왔다.

특히 이번 현대차가 후원하는 테이트 미술관 터빈홀 전시인 (2022)는 터빈홀 양쪽에 위치한 27m의 거대한 설치작업과 다양한 아티스트, 사회 활동가와의 공동작업으로 진행된 오디오, 비디오 작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라틴 아메리카계 지역사회 여성들이 수집한 영국 템스강 유역에 버려진 점토 파이프, 도자기 조각 등이 설치 작업에 함께 엮어져 있다.

이는 마치 파괴되어 가는 자연과 잃어버린 토착 문화에 바치는 너무도 아름답지만 깊은 슬픔을 표현한 애가가 되어 관객의 심금을 울리며 잔잔한 파장을 일으킨다.
CeciliaVicuna_LaVicuna_1977_(1)

마지막으로는 그녀가 사회와 정치에 대해 자신이 가진 독창적 표현방식으로 메시지를 전달해온 행동가였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1960, 70년대를 거쳐온 많은 예술가들은 사회 참여적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었었고 그녀 또한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예술가라고 해서 꼭 사회정치적으로 목소리를 내어야만 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우회적이고 유희적인 그녀의 방식은 매우 독창적이다. 그 예로 그녀와 동명의 동물이 함께 등장하는 작품(1977)을 마지막으로 소개하겠다. 그림 속에 비쿠냐는 비쿠냐를 타고 스카프만 목에 두른 채 달려간다.

어릴 때부터 그녀의 별명이 비쿠냐가 아니였을까 상상하는 지점이며, 실제 동물 비쿠냐의 사진을 찾아보니 선한 눈을 가진 이국적 모습이 세실리아 비쿠냐와 많이 닮은 듯까지 했다. 귀여운 동물과 초현실적 이미지, 강렬한 색상의 첫인상이 관객을 사로잡는다.

그러나 그림을 찬찬히 보노라면, 핑크빛 스카프 속 그려진 과거의 행복했던 시기를 뒤로하고, 독재자와 군대, 총으로 회색 빛 종이를 채워나가는 슬픈 눈의 비쿠냐를 발견한다.

우회적이지만 너무 무겁지 않게 풀어내는 그녀의 방식은 그래서 더욱 관객에게 거부감 없이 스며들며 경종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한 때 멸종 위기에 처했던 비쿠냐의 운명처럼 많은 어려움 앞에 있다.

인간 문명이 가져온 자연 파괴의 폐해는 더욱더 커져가고 있으며, 세계와 사회 곳곳의 전쟁과 분열, 부의 양극화 등 인간의 나은 삶을 목표로 하는 문명의 발전은 어디로 향해가는지 알 수 없는 폭주하는 열차와도 같이 위태롭고 불안하다.

동시대가 봉착한 이러한 위기에 과연 예술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할 수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비쿠냐의 예술은 이 지점에서 우리에게 작은 희망을 전달하고 있다고 조심스레 이야기해 보고 싶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잊고 지내오던 약한 것을 보면 품어주고 싶은 인간 본연의 모성애적 심성을 끌어내어, 부모에게, 이웃에게,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진 이에게, 약자에게, 더 나아가 자연을 향해 그러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예술이 잠시라도 우리를 환기시켜 준다면, 그리고 잠시의 순간이 잦아진다면 (1977) 그림 속 회색 빛 일기장도 두 비쿠냐의 얼굴도 과거의 찬란했던 핑크빛으로 다시 서서히 물들 수 있지 않을까 상상해 본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