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세계 경제 변곡점…韓·中·日 협력이 회복 엔진"

한·중·일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2일 인천 송도에서 회담을 갖고 있다. 기재부 제공
한·중·일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2일 인천 송도에서 회담을 갖고 있다. 기재부 제공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국과 중국, 일본의 협력이 세계 경제의 빠르고 지속 가능한 회복의 엔진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2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한·중·일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다.

문화·인적 교류도 확대해야

추 부총리는 "한·중·일 3국이 전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가 넘고 아세안+3 지역에서는 80%에 달한다"며 "세계 경제가 중요한 변곡점에 있는 상황에서 한·중·일의 3국의 협력은 한국과 중국, 일본 각 국가와 아세안+3 지역, 나아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추 부총리는 "한·중·일 3국이 지속 가능한 성장과 공동 번영을 위해 상호 존중과 호혜의 정신으로 협력한다면 직면한 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3국과 아세안, 전 세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한·중·일의 협력이 세계 경제의 빠르고 지속 가능한 회복의 엔진이 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을 계기로 금융과 교역·투자 등 경제 분야뿐 아니라 관광, 문화, 인적 교류, 정책 공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중·일 3국간 협력을 본격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면서 "한국은 이를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한·중·일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는 이날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막한 아시아개발은행(ADB) 총회 부대행사로 진행됐다. 이 회의는 4년 만에 대면 회의로 열렸다.

7년 만에 열린 한일 재무장관 회담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한·일 재무장관 양자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한·일 재무장관 양자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추 부총리는 한·중·일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이어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상과 양자 회담을 가졌다. 7년 만에 열린 한일 재무장관 양자 회담이다.

추 장관은 이 자리에서 "일본 측 화이트리스트 복원이 조속히 완료되길 희망한다"라며 "항공편 추가 증편, 고교생·유학생 등 미래세대 교류 확대 등을 통한 양국 인적 교류 회복, 민간·정부 차원의 대화채널 복원 및 확대도 가속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추 부총리는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산업, 양자·우주·바이오 등 신산업, 글로벌 수주시장 공동진출, 저출산 고령화·기후변화 등 미래 대응과 같이 공동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민간·정부 차원의 동반관계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또 "글로벌 이슈에서도 양국 재무 당국 간 공조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라며 "최근 대두되고 있는 지정학적 리스크, 공급망 불안 등에 대해서도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12년 만의 한일 정상 간 셔틀 외교가 복원됐고, G7 정상회의와 G7 재무장관 회의에 일본이 한국을 초청하는 등 양국 관계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이러한 협력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스즈키 재무상은 "한일 양국은 세계 경제와 지역 및 국제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협력해야 하는 중요한 이웃 나라"라며 "한일 간 많은 교류, 재무간 교류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답했다. 또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게 일본 정부의 입장"이라며 "양국이 협력해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