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B "기후위기 공동대응 움직임, 기술강국 한국에 새로운 기회"
입력
수정
앨버트 박 수석 이코노미스트 인터뷰…"개도국, 재난에 더 큰 피해"
ADB, 연차총회 내내 기후 이슈에 초점…"아태지역 '기후은행' 될 것"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기후 위기에 대응하려면 전 세계적인 협력과 지원이 필요하며, 한국은 이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ADB 앨버트 박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5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기후 위기 해결을 위한 글로벌 공동 대응 움직임은 '기술 강국'인 한국에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급격한 기후 변화는 전 세계 모든 국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특히 사회적 인프라가 부족한 개발도상국과 후진국은 재난 대응 역량이 미흡해 더 큰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를 거듭할수록 피해 규모가 계속해서 커지고 있고, 이로 인한 기회비용도 상당한 만큼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당면한 문제들을 빠르게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선진국의 지원과 협력이 꼭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앨버트 박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개도국·후진국을 위한 선진국의 지원이 일방적인 도움이 아닌 '상호이익'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성장 잠재력 크고 인구가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기후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빠르게 발전한다면 역내 무역 망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이러한 혜택을 더욱 크게 누릴 수 있으며,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내놨다. 앨버트 박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 전기차나 배터리 등 친환경 산업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고, 빠른 경제 성장의 노하우도 가지고 있는 나라"라며 "아시아 개도국들의 친환경 전환과 경제 발전 지원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시아의 기후 위기와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은 송도에서 열린 ADB 연차총회 내내 핵심 의제로 논의됐다.
ADB는 프로젝트 설명회와 비즈니스 세션 등 주요 행사에서 기후 변화로 인한 아시아의 피해와 이에 대한 대응 방은 등을 설명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ADB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최근 들어 기후 위기의 가장 큰 '가해자'이자 '피해자'로 떠올랐다.
현재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중 절반 이상이 아·태 지역에서 나오고 있으며, 향후 화력발전을 위한 석탄 수요 증가분 중 80% 이상이 이 지역에서 나올 것으로 분석된다.
아시아 개발도상국들의 경제 성장이 본격화하고, 선진국들이 값싼 노동력을 찾아 생산시설을 중국과 동남아 등으로 옮긴 영향으로 풀이된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 기후 변화 관련 재난으로 피해를 본 아·태 지역 사람들은 56억명에 달하며, 재산 피해는 1조5천억 달러로 추산된다.
이 지역 인구 60% 이상이 어업이나 농업 등 기후 변화 충격에 취약한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ADB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30년까지 달성할 7대 중점 과제 중 '기후·환경 재난 해결'을 최우선으로 삼고, 1천억 달러 규모의 기후 기금을 조성하겠다는 구체적 목표를 정했다.
기후 정책을 뒷받침하는 프로젝트의 비율을 75%까지 확대하고, 2025년까지 ADB의 모든 운영을 파리기후변화 협약에 일치시키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연차총회에서 '아태기후혁신금융퍼실리티'(IF-CAP) 출범을 공식화하고, 한국기후기술 허브(k허브) 설립을 발표한 것도 이러한 맥락이다. 아사카와 마사츠구 ADB 총재 역시 총회 개회식에서 "기후 변화는 우리 삶의 중요한 문제이며 아·태 지역은 그 전투의 최전선에 서 있다"며 "ADB는 아·태 지역의 '기후은행'으로서 다양한 프로그램과 과감한 지원 방안 들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ADB, 연차총회 내내 기후 이슈에 초점…"아태지역 '기후은행' 될 것"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기후 위기에 대응하려면 전 세계적인 협력과 지원이 필요하며, 한국은 이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ADB 앨버트 박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5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기후 위기 해결을 위한 글로벌 공동 대응 움직임은 '기술 강국'인 한국에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급격한 기후 변화는 전 세계 모든 국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특히 사회적 인프라가 부족한 개발도상국과 후진국은 재난 대응 역량이 미흡해 더 큰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를 거듭할수록 피해 규모가 계속해서 커지고 있고, 이로 인한 기회비용도 상당한 만큼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당면한 문제들을 빠르게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선진국의 지원과 협력이 꼭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앨버트 박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개도국·후진국을 위한 선진국의 지원이 일방적인 도움이 아닌 '상호이익'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성장 잠재력 크고 인구가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기후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빠르게 발전한다면 역내 무역 망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이러한 혜택을 더욱 크게 누릴 수 있으며,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내놨다. 앨버트 박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 전기차나 배터리 등 친환경 산업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고, 빠른 경제 성장의 노하우도 가지고 있는 나라"라며 "아시아 개도국들의 친환경 전환과 경제 발전 지원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시아의 기후 위기와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은 송도에서 열린 ADB 연차총회 내내 핵심 의제로 논의됐다.
ADB는 프로젝트 설명회와 비즈니스 세션 등 주요 행사에서 기후 변화로 인한 아시아의 피해와 이에 대한 대응 방은 등을 설명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ADB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최근 들어 기후 위기의 가장 큰 '가해자'이자 '피해자'로 떠올랐다.
현재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중 절반 이상이 아·태 지역에서 나오고 있으며, 향후 화력발전을 위한 석탄 수요 증가분 중 80% 이상이 이 지역에서 나올 것으로 분석된다.
아시아 개발도상국들의 경제 성장이 본격화하고, 선진국들이 값싼 노동력을 찾아 생산시설을 중국과 동남아 등으로 옮긴 영향으로 풀이된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 기후 변화 관련 재난으로 피해를 본 아·태 지역 사람들은 56억명에 달하며, 재산 피해는 1조5천억 달러로 추산된다.
이 지역 인구 60% 이상이 어업이나 농업 등 기후 변화 충격에 취약한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ADB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30년까지 달성할 7대 중점 과제 중 '기후·환경 재난 해결'을 최우선으로 삼고, 1천억 달러 규모의 기후 기금을 조성하겠다는 구체적 목표를 정했다.
기후 정책을 뒷받침하는 프로젝트의 비율을 75%까지 확대하고, 2025년까지 ADB의 모든 운영을 파리기후변화 협약에 일치시키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연차총회에서 '아태기후혁신금융퍼실리티'(IF-CAP) 출범을 공식화하고, 한국기후기술 허브(k허브) 설립을 발표한 것도 이러한 맥락이다. 아사카와 마사츠구 ADB 총재 역시 총회 개회식에서 "기후 변화는 우리 삶의 중요한 문제이며 아·태 지역은 그 전투의 최전선에 서 있다"며 "ADB는 아·태 지역의 '기후은행'으로서 다양한 프로그램과 과감한 지원 방안 들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