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자유주의는 공동체가 지켜야 할 도덕"

자유주의의 잃어버린 역사

헬레나 로젠블랫 지음
김승진 옮김 / 니케북스
488쪽│2만6000원
정치 언어 가운데 ‘자유주의’만큼 논쟁적인 개념이 또 있을까. 한국에서 자유주의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자유당을 시작으로 보수정당의 캐치프레이즈가 된 지 오래다.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사에서 ‘자유’란 단어가 35차례 나온 것만 봐도 그렇다.

하지만 해외에서 자유주의의 의미는 그때그때 다르다. 영국에선 19세기 초반 지주·귀족 계급 등 보수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자유당이 결성됐다. 미국에서 자유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옹호하는 신자유주의자부터 진보적 성향의 ‘리버럴주의자’까지 다양한 정치세력을 설명하는 데 동원된다.자유주의의 개념이 이처럼 모호한 이유는 뭘까. 대한민국 헌법 전문(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더욱 확고히…)에 나올 정도로 중요한 개념이지만, 정작 명쾌한 설명을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자유주의를 오랫동안 연구해온 헬레나 로젠블랫 뉴욕시립대 교수는 이 질문에 “공동체가 지켜야 할 도덕”이라고 답한다. 최근 국내 출간된 <자유주의의 잃어버린 역사>를 통해서다. 로젠블랫 교수는 이 책에서 2000여 년 전 로마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자유주의가 변화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로마 시대에 자유는 공공선, 사회를 위한 헌신 등 공적 규범이었다. 키케로의 <의무론>에 따르면 자유는 ‘자유롭게 태어난 로마 시민에 걸맞은 고귀한 자세’를 의미했다. 개인의 이익 추구 등 사적 경제활동은 오히려 ‘노예의 태도’로 격하됐다.저자는 자유 개념이 시대를 거치며 변질했다고 말한다. 이후 20세기 중반 ‘미국식 자유주의’가 나왔다. 개인의 권리와 이익, 자유방임주의, 작은 정부론 등을 골자로 하는 신자유주의 얘기다. 자유주의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공동체성의 위기’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포퓰리즘 등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가 세계 곳곳에서 지지받는 것에 대한 분석도 참고할 만하다.

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