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정상회담] 尹 "과거사, 일방 요구할 사안 아냐"…미래 위한 '결단'에 방점
입력
수정
尹, "마음 아프다"는 기시다에 "감사하다" 반응도…일관된 대일 외교 노선
확대회담선 "과거사 정리 안되면 미래로 한발자국도 못디딘단 인식 벗어나야" 윤석열 대통령은 7일 한일관계 발전을 위해 과거사 문제를 조속히 매듭짓고 미래 지향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과거사 문제와 관련, "어느 일방의 상대에게 요구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제3자 변제'를 골자로 하는 정부 해법에 대해서도 "법적 완결성을 지닌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일관된 대일 외교 노선을 견지해왔다. 일찍이 대선 후보 시절부터 1998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전 일본 총리 간의 '21세기 파트너십 공동선언'을 계승하겠다고 공약했다.
취임 뒤에는 글로벌 복합 위기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 간의 협력을 중시하며, 특히 한미동맹 강화와 한일관계 개선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왔다.
과거사 문제에도 전향적 접근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지난달 24일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100년 전의 일을 가지고 (일본에)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힌 것이 대표적이다.
윤 대통령은 또 이날 확대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지난달 미국 국빈 방문 당시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에서 한 정책연설 내용을 상기시키면서 "(한일) 양국이 과거사가 완전히 정리되지 않으면 미래 협력을 위해 한발자국도 내디딜 수 없다는 인식에서는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기시다 총리가 지난 3월 이미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계승한다"고 밝힌 만큼 추가 사과 요구를 하기보다 '호응' 조치를 끌어내기 위한 선제적 '결단'이 요구되는 시점이라는 것이다. 여기에는 전임 문재인 정부가 국내 일각의 반일 감정에 편승해 악화일로 한일관계를 방치하고, 이를 정치적으로 악용했다는 인식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기시다 총리가 이날 회견에서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해 "당시 혹독한 환경에서 많은 분이 매우 고통스럽고 슬픈 일을 겪으셨다는 것에 마음이 아프다"고 언급한 것도 그런 호응 조치의 하나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윤 대통령은 이런 언급에 "한국이 먼저 얘기를 꺼내거나 요구한 바 없는데 진정성 있는 입장을 보여줘 감사하다"고 반응했다고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브리핑에서 전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 미래 협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라고도 했다.
결국, 이날 한일정상회담에서는 과거에 얽매이기 보다는 미래에 방점을 두고 건설적 협력을 펼쳐가는 것이 한일 관계가 나아갈 올바른 방향이라는 윤 대통령 인식이 다시 한번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양국 정상이 지난 3월에 이어 이날 회담에서도 한일 미래세대 교류 활성화 논의를 강조한 것은 그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윤 대통령의 과거사 문제 해법 뒤에는 한일관계 발전이 결국 미래세대를 위해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전제돼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확대회담선 "과거사 정리 안되면 미래로 한발자국도 못디딘단 인식 벗어나야" 윤석열 대통령은 7일 한일관계 발전을 위해 과거사 문제를 조속히 매듭짓고 미래 지향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과거사 문제와 관련, "어느 일방의 상대에게 요구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제3자 변제'를 골자로 하는 정부 해법에 대해서도 "법적 완결성을 지닌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일관된 대일 외교 노선을 견지해왔다. 일찍이 대선 후보 시절부터 1998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전 일본 총리 간의 '21세기 파트너십 공동선언'을 계승하겠다고 공약했다.
취임 뒤에는 글로벌 복합 위기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 간의 협력을 중시하며, 특히 한미동맹 강화와 한일관계 개선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왔다.
과거사 문제에도 전향적 접근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지난달 24일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100년 전의 일을 가지고 (일본에)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힌 것이 대표적이다.
윤 대통령은 또 이날 확대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지난달 미국 국빈 방문 당시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에서 한 정책연설 내용을 상기시키면서 "(한일) 양국이 과거사가 완전히 정리되지 않으면 미래 협력을 위해 한발자국도 내디딜 수 없다는 인식에서는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기시다 총리가 지난 3월 이미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계승한다"고 밝힌 만큼 추가 사과 요구를 하기보다 '호응' 조치를 끌어내기 위한 선제적 '결단'이 요구되는 시점이라는 것이다. 여기에는 전임 문재인 정부가 국내 일각의 반일 감정에 편승해 악화일로 한일관계를 방치하고, 이를 정치적으로 악용했다는 인식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기시다 총리가 이날 회견에서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해 "당시 혹독한 환경에서 많은 분이 매우 고통스럽고 슬픈 일을 겪으셨다는 것에 마음이 아프다"고 언급한 것도 그런 호응 조치의 하나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윤 대통령은 이런 언급에 "한국이 먼저 얘기를 꺼내거나 요구한 바 없는데 진정성 있는 입장을 보여줘 감사하다"고 반응했다고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브리핑에서 전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 미래 협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라고도 했다.
결국, 이날 한일정상회담에서는 과거에 얽매이기 보다는 미래에 방점을 두고 건설적 협력을 펼쳐가는 것이 한일 관계가 나아갈 올바른 방향이라는 윤 대통령 인식이 다시 한번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양국 정상이 지난 3월에 이어 이날 회담에서도 한일 미래세대 교류 활성화 논의를 강조한 것은 그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윤 대통령의 과거사 문제 해법 뒤에는 한일관계 발전이 결국 미래세대를 위해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전제돼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