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인력 10년 후 24만명 감소…"외국인 더 받아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 경제의 주요 산업인 제조업 인력이 10년 후 24만명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인구구조 변화로 청년층이 감소하는 가운데 저숙련 서비스업 취업이 많은 고령자가 늘어난 결과다. 제조업 인력 확충을 위해선 외국인 인구를 유입하는 것이 유효할 것으로 분석됐다.

제조업 인력 10년 내 24만명 사라진다

한국은행이 9일 발간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별 고용인력 변화와 정책대안별 효과 추정' 보고서에서 김혜진·정종우 한은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이같은 분석을 내놨다.보고서는 산업별 취업자 구성과 연령별 인구규모 변동을 감안해 2022년부터 2032년까지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취업자 수 변동을 파악했다. 자동차 전자기기 화학산업 등은 고숙련 제조업, 식료품 의복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업은 저숙련 제조업으로 분류됐다. 서비스업은 IT 금융 보건 교육 분야가 고숙련, 도소매 및 음식 숙박업은 저숙련으로 나눴다.

분석 결과 향후 10년 간 제조업 고용인력이 크게 감소한 반면, 서비스업은 고용이 늘어나는 것으로 예측됐다. 고숙련 제조업 고용인력은 2022년 252만명에서 2032년 248만명으로 4만명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저숙련 제조업은 196만명에서 176만명으로 20만명 감소한다. 10년간 제조업 인력이 24만명 줄어들 것이란 예측이다.

고숙련 제조업 일자리 감소는 20~34세 청년 근로자 규모가 71만명에서 57만명으로 줄어든 탓으로 분석됐다. 저숙련 제조업에선 35~54세 장년 근로가 수 감소가 영향을 줬다.반면 서비스업은 고숙련 분야는 738만명에서 772만명으로, 저숙련은 1177만명에서 1217만명으로 각각 4.6%, 3.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고숙련 서비스업 증가세에는 여성근로자 수 증가가, 저숙련 증가에는 65세 이상 고령자의 증가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제조업 인력 증가 위해 "외국인 더 받아야"

사진=연합뉴스
보고서는 이같은 고용인력 감소를 해소하기 위해 여성과 고령자, 외국인 인력을 더 확충하는 정책 대안을 점검했다. 이중 제조업 인력 확충을 위해선 외국인 인력 확충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전체 인구 중 3.8%를 차지하는 외국인 비율이 2032년까지 G7 국가 평균인 7.8%로 증가할 경우, 모든 산업군에서 일자리가 골고루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유입되는 외국인의 숙련도가 내국인과 동일한 수준이라는 가정 하에 분석한 결과다.

제조업은 고숙련 제조업에서 15만명의 인력 확대 효과가 나타나고, 저숙련 제조업 인력도 11만명 가량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2022년 대비 약 2만명 많은 수준으로 제조업 인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65.9%인 경력단절기(30~44세) 여성 고용률을 G7 국가 수준인 70.2%로 높일 경우엔 고숙련 서비스업 중심의 인력 증가가 예상됐다. 고숙련 서비스업은 기존 추정치 413만명 대비 15만명 증가했다. 고숙련과 저숙련 제조업에서는 각각 약 2만명의 인력 증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파악됐다.고령자 고용 확대는 저숙련 서비스업 인력 확충에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50~64세 고용률이 현재 67.0%에서 일본 수준(76.8%)으로 확대될 경우 저숙련 서비스업에서 70만명 가량의 추가 인력 공급이 있을 것으로 파악됐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